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1,501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0월 20일 (목) 08:25
보댄비클 대략적인 설명 작성 완료했습니다.
30번째 줄: 30번째 줄:  
'''최종 갱신일 {{REVISIONYEAR}}/{{REVISIONMONTH}}/{{REVISIONDAY2}}'''
 
'''최종 갱신일 {{REVISIONYEAR}}/{{REVISIONMONTH}}/{{REVISIONDAY2}}'''
 
===개요===
 
===개요===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5_치요코}}와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5_카호}}의 지연 흥미 증가 컨셉과 듀엣 라이브 스킬을 이용하여 빠르게 강력한 오모이데 어필을 사용하는 것이 주축이 되는 덱이다.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5_치요코}}와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5_카호}}의 지연 흥미 증가 컨셉과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8_린제}},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7_치요코}} 등의 듀엣 라이브 스킬을 이용하여 빠르게 강력한 오모이데 어필을 사용하는 것이 주축이 되는 덱이다.
      335번째 줄: 335번째 줄:     
===== S.T.E.P. =====
 
===== S.T.E.P. =====
S.T.E.P. 은 G.R.A.D. 와 다르게 히라메키에 제약을 받지 않기에 다양한 편성이 가능하다. 덧붙여 S.T.E.P. 에서는 시설 마스터리의 가치가 극대화 되기에 20221020 기준으로 이를 가진 카드 유일한 {{Vo}} 통상 카드인 [[파일:Icon Hiori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는 필수로 채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
S.T.E.P. 은 G.R.A.D. 와 다르게 히라메키에 제약을 받지 않기에 다양한 편성이 가능하다. 덧붙여 S.T.E.P. 에서는 시설 마스터리의 가치가 극대화 되기에 20221020 기준 이를 가진 카드 유일한 {{Vo}} 통상 카드 [[파일:Icon Hiori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는 필수로 채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스킬 트리거====
 
====스킬 트리거====
356번째 줄: 356번째 줄:     
=== 개요 ===
 
=== 개요 ===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8_코가네}}의 흥미 반전을 기반으로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나츠하}}의 강력한 전관객 어필이나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카호}}의 포텐셜이 굉장히 높은 오모이데 링크 데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주축이 되는 덱이다.
+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8_코가네}}의 흥미 반전을 기반으로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나츠하}}의 강력한 전관객 어필이나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카호}}의 포텐셜이 굉장히 높은 오모이데 어필 데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주축이 되는 덱이다.
 
===프로듀스 카드===
 
===프로듀스 카드===
    
==== 센터 채용 가능 ====
 
==== 센터 채용 가능 ====
 +
 +
===== 한정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카호}}
 +
 +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Da}} 8배 어필이 가능한 카호 한정 카드이다. 조건이 갖추어 진다는 가정 하에 굉장히 강력한 오모이데 어필이지만, 주목도 200% DOWN[3턴]이라는 큰 디버프 때문에 사실상 주목도를 400%까지 맞춰야 한다는 점이 큰 단점이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파일:Icon Chiyoko P SSR 01.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P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와 같이 높은 주목도를 걸어주는 라이브 스킬을 가진 카드를 채용하거나, 스킬을 찍는 순서를 고려하여 오모이데 타이밍에 [[파일:Icon Natsuha S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Toru S SSR 04.png|대체글=|60x60픽셀]]의 주목도 버프가 발동되도록 유도하여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주목도 200% DOWN[3턴]이라는 큰 제약 때문에 제대로 오모이데 어필을 사용하기 힘든 카드이지만, 특유의 포텐셜 덕분에 조건이 갖춰지는 룰이 오면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
 +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나츠하}}
 +
 +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Da}} 6.5배 어필이 가능한 나츠하 한정 카드로, '''프로듀서 카드 중 댄클에게 가장 중요도가 높은 카드이다.''' 나츠하 센터가 갖는 가장 큰 장점은 오모이데 타이밍의 주목도 관리인데, 오모이데 링크 어필 전 걸리는 주목도 100%[3턴] 버프 덕분에 다른 댄클 센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도 관리 난이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의 라이브 스킬만으로 스킬 이력을 채워도 주목도가 부족할 일이 거의 없고, 다른 방과후 클라이맥스 걸즈 덱보다 오모이데 타이밍까지 가는 것이 수월하게 된다. 또한 오모이데 타이밍에 주목도 버프를 많이 챙길 필요성이 떨어져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의 {{Da}} 120% UP과 같은 높은 버프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단점으로는 {{Da}} 포지션이 아닌 센터 포지션으로 사용하는 것이기에 강력한 라이브 스킬을 제대로 활용하기 힘들다는 점이 있다.
 +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3_치요코}}
 +
 +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Da}} 6배 어필이 가능한 치요코 한정 카드이다. 치요코 센터의 장점은 [[파일:Icon Kah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Natsuha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를 최대한 활용하면서 리스크가 줄인다는 점에 있다. [[파일:Icon Kah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를 센터로 채용할 때보다 오모이데 어필은 약하지만 주목도 조건을 만족하기 쉽고, [[파일:Icon Natsuha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의 강력한 라이브 스킬을 {{Da}} 포지션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킬 발동 순서는 리더 - [보컬, 비주얼, 댄스 랜덤] - 센터이기에 활용하기 힘든 자신의 버프를 가장 늦게 발동시키고 다른 카드의 강력한 버프를 먼저 발동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단점으로는 [[파일:Icon Kah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Natsuha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센터가 갖는 장점에 비해 특화되어 있지 않아 상대적으로 어중간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린제}}
 +
 +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Da}} 6배 어필이 가능한 린제 한정 카드이며, 상기 센터들에 비하면 메리트는 떨어진다. 이 카드를 센터로 채용했을 경우 [[파일:Icon Kah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를 리더로 채용해 {{Da}} 80% UP, 추억게이지 10% UP 버프를 챙겨주는 것을 추천한다.
 +
 +
===== 통상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6_치요코}}
 +
 +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Da}} 5.5배 어필이 가능한 치요코 한정 카드이며, 장단점은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3_치요코}}를 센터로 채용했을 때와 거의 동일하다.
    
==== 덱 채용 가능 ====
 
==== 덱 채용 가능 ====
 +
 +
===== 한정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카호}}
 +
 +
{{Da}} 3배 어필, 전관객 {{Da}} 2배 어필, 주목도 100%[3턴]라는 준수한 성능으로 센터가 아니라도 자주 채용된다.
 +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나츠하}}
 +
 +
전관객 {{Da}} 3배 어필, 전관객 {{Da}} 최대 3.5배 어필이라는 높은 배율의 스킬을 가지고 있으며, 센터 포지션이 아닐 경우 주로 {{Da}} 포지션으로 채용된다. 이 카드를 메인으로 오모이데 어필이 아닌 라이브 스킬로 단기전 승부를 보는 덱인 [[그레이드 페스/방과후 클라이맥스 걸즈#.EB.82.98.EC.B8.A0.EC.9D.B4.ED.80.84.5B4.5D|나츠이퀄]]이란 덱이 있는데, 이에 대해선 밑에서 후술한다.
 +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린제}}
 +
 +
{{Da}} 3.5배 어필과 {{Da}} 80%[2턴], 주목도 155%[4턴]라는 높은 수치의 버프를 가지고 있으며, 패시브 스킬로 추억 게이지를 채울 수 있어 댄클의 오모이데 수급에 큰 도움을 준다.
 +
 +
===== 통상 =====
 +
라이브 스킬의 용도가 명확하지 않은 P카드는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Juri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의 ☆4 라이브 스킬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용률 보너스의 추가 이후 높은 점수를 얻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 카드를 채용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따라서 현재 소개되는 통상 카드가 아닌 다른 카드더라도 충분히 채용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6_치요코}}
 +
 +
최초로 듀엣이라는 컨셉을 들고 나온 6차 치요코 통상 카드이며, 방클의 고질병인 오모이데 턴을 줄이는 큰 포텐을 가지고 있으며, 주목도 버프도 4턴이기 때문에 충분히 채용 여지가 있다.
 +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_치요코}}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6_린제}}
 +
 +
두 카드 모두 주목도를 올려주는 라이브 스킬을 가지고 있으며, [[파일:Icon Kah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가 센터로 채용되었을 경우 부족한 주목도를 보충해주기 위해 채용된다.
 +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_린제}}, {{틀:아이돌 바로가기|P-SR2_린제}}
 +
 +
5차 린제 한정이 없을 시 추억 게이지 공급 버프를 활용하기 위해 채용된다.
 +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5_쥬리}}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6_쥬리}}
 +
 +
두 카드 모두 쥬리의 통상 카드이며, 카드 자체의 이점보다는 {{Da}} 상한 250을 보고 채용되는 편이다.
    
=== 서포트 카드 ===
 
=== 서포트 카드 ===
 +
 +
==== 유닛 내 카드 ====
 +
 +
===== 한정 =====
 +
[[파일:Icon Juri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
 +
 +
[[파일:Icon Natsuha S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
 +
 +
[[파일:Icon Kaho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S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
 +
 +
===== 통상 =====
 +
 +
==== 유닛 외 카드 ====
 +
 +
===== 한정 =====
 +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
 +
[[파일:Icon Toru S SSR 04.png|대체글=|60x60픽셀]]
 +
 +
[[파일:Icon Chiyuki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
 +
 +
===== 통상 =====
 +
[[파일:Icon Madoka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
    
=== 권장 특훈 순서 ===
 
=== 권장 특훈 순서 ===
 +
[[파일:Icon Natsuha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 운용 ===
 
=== 운용 ===
현재 작성 중.
+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 오모이데
 +
 
 +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ah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 오모이데
    
== 나츠이퀄<ref>댄클과는 성격이 다른 덱이므로 따로 서술한다.</ref> ==
 
== 나츠이퀄<ref>댄클과는 성격이 다른 덱이므로 따로 서술한다.</ref> ==
377번째 줄: 470번째 줄:     
==== 댄클과의 비교 ====
 
==== 댄클과의 비교 ====
상기한 댄클과는 성격이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댄클과 나츠이퀄의 대표적인 공통점은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의 라이브 스킬을 적절히 사용하여 원하는 타이밍에 강력한 딜을 넣을 수 있게 조정한다는 점이고, 차이점은 댄클은 오모이데 어필을 사용하기에 상대적으로 턴이 길어나츠이퀄은 단기전을 바라보는 구성이라 탕기릭을 사용하여
+
상기한 댄클과는 성격이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댄클과 나츠이퀄의 대표적인 공통점은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의 라이브 스킬을 적절히 사용하여 원하는 타이밍에 강력한 딜을 넣을 수 있게 조정한다는 점이고, 차이점은 댄클은 오모이데 어필을 사용하기에 상대적으로 턴이 길며, 나츠이퀄은 단기전을 바라보는 구성이고 [[파일:Icon Kiriko S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아 비교적 멘탈이 낮다는 점이다. 또한 나츠이퀄은 [[파일:Icon Natsuha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자체의 데미지에 크게 의존한 구성이기에 S.T.E.P. 육성이 필수적이게 된다.
    
==== 덱 이름이 왜 나츠이퀄인가? ====
 
==== 덱 이름이 왜 나츠이퀄인가? ====
384번째 줄: 477번째 줄:  
===프로듀스 카드===
 
===프로듀스 카드===
   −
==== 센터 채용 가능 ====
+
==== 채용 가능 카드 ====
 
+
나츠이퀄은 기본적으로 오모이데 어필이 메인 딜 수단이 아니기 때문에 센터 선택의 자유도가 보장된다. 따라서 사용률에 이점을 가지는 카드를 채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파일:Icon Natsuha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가 들어가는 댄스 포지션을 제외한 다른 포지션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그러므로 사용률 점수를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는 카드를 채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 덱 채용 가능 ====
      
=== 서포트 카드 ===
 
=== 서포트 카드 ===
399번째 줄: 491번째 줄:     
=== 개요 ===
 
=== 개요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쥬리}}의 듀엣[방클걸] / 듀엣[방클걸] 효과와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_카호}}의 주목도 1000%이용하여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치요코}}의 고배율 오모이데 어필을 비교적 빠른 턴에 사용하는 것이 주축이 되는 덱이다.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쥬리}}의 듀엣[방클걸] / 듀엣[방클걸] 효과와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_카호}}의 주목도 1000% 라이브 스킬을 이용하여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치요코}}의 고배율 오모이데 어필을 비교적 빠른 턴에 사용하는 것이 주축이 되는 덱이다.
 
===프로듀스 카드===
 
===프로듀스 카드===
    
==== 센터 채용 가능 ====
 
==== 센터 채용 가능 ====
 +
 +
===== 한정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치요코}}
 +
 +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Vi}} 8배 어필이 가능한 치요코 한정 카드로, 비클에서 가장 흔하게 센터로 채용되는 카드이다. 카드의 구조는 [[파일:Icon Kah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와 유사하여 주목도 200% DOWN[3턴] 디버프를 건 후 링크 어필이 이루어지나, 비클에서는 [[파일:Icon Kaho P SSR 01.png|대체글=|60x60픽셀]]의 주목도 1000% 라이브 스킬을 채용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하다.
 +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쥬리}}
 +
 +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Vi}} 6.5배 어필이 가능한 쥬리 한정 카드로, '''프로듀서 카드 중 비클에게 가장 중요도가 높은 카드이다.''' 카드의 구조는 [[파일:Icon Natsuha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과 유사하게 주목도 100%[3턴] 버프를 건 후 링크 어필이 이루어지며, [[파일:Icon Natsuha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센터가 [[파일:Icon Kah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보다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은 것처럼 [[파일:Icon Juri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센터도 [[파일:Icon Chiyok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센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은 것이 특징이다.
 +
 +
 +
<s>{{틀:아이돌 바로가기|P-SSR4_쥬리}}</s>
 +
 +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Vi}} 6배 어필이 가능하다. 데미지만 보면 센터 채용이 가능해 보이나, [[파일:Icon Juri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가 없으면 비클을 할 수 없을 정도로 가치가 매우 높아 사실상 불가능하다.
 +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3_나츠하}}
 +
 +
오모이데 어필로 조건 없이 {{Vi}} 5배 어필이 가능한 나츠하 한정 카드이다. 같은 포지션에서 어느정도 장점이 있었던 [[파일:Icon Juri P SSR 02.png|대체글=|60x60픽셀]]와 달리 큰 장점은 없으며, 현재로서는 위의 두 카드 중 하나를 센터로 선택하는 것이 적합하다.
 +
 +
===== 통상 =====
 +
<s>{{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쥬리}}</s>
 +
 +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Vi}} 5.5배 어필이 가능하다. 데미지만 보면 센터 채용이 가능해 보이나, 상기 [[파일:Icon Juri P SSR 04.png|대체글=|60x60픽셀]]와 마찬가지로 [[파일:Icon Juri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가 없으면 비클을 할 수 없을 정도로 가치가 매우 높아 사실상 불가능하다.
    
==== 덱 채용 가능 ====
 
==== 덱 채용 가능 ====

편집

23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