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49,222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16일 (토) 03:00
잔글
2번째 줄: 2번째 줄:  
스트레이라이트의 컨셉은 버프 소거를 통한 어필 배율의 증가이며, 이에 따라 스트레이라이트 덱을 구성할 때는 어필과 동시에 버프를 획득할 수 있는 카드들이 선호된다.
 
스트레이라이트의 컨셉은 버프 소거를 통한 어필 배율의 증가이며, 이에 따라 스트레이라이트 덱을 구성할 때는 어필과 동시에 버프를 획득할 수 있는 카드들이 선호된다.
 
<br><br>
 
<br><br>
그레이드 페스에서 사용되는 스트레이라이트 덱은 현재 두가지가 있으며. 다음과 같다.<br><br>
+
그레이드 페스에서 사용되는 스트레이라이트 덱은 현재 세가지가 있으며. 다음과 같다.<br><br>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空と青とアイツ】芹沢あさひ]]를 활용한 비쥬얼 스트레이라이트''' (이하 비스트)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空と青とアイツ】芹沢あさひ]]를 활용한 비쥬얼 스트레이라이트''' (이하 비스트)
    
'''[[파일:Icon_Fuyuko_P_SSR_02.png| 60px]][[【アンシーン・ダブルキャスト】黛冬優子]]를 활용한 댄스 스트레이라이트''' (이하 댄스트)
 
'''[[파일:Icon_Fuyuko_P_SSR_02.png| 60px]][[【アンシーン・ダブルキャスト】黛冬優子]]를 활용한 댄스 스트레이라이트''' (이하 댄스트)
 +
 +
'''[[파일:Icon_Mei_P_SSR_03.png| 60px]][[【シャッターチャンス!?】和泉愛依]]를 활용한 보컬 스트레이라이트''' (이하 보스트)
 
<br><br>
 
<br><br>
각각의 설명에 앞서, 비스트와 댄스트에서 공통적으로 채용되는 카드는 다음과 같다.
   
<br><br>
 
<br><br>
[[파일:Icon_Rinze_P_SSR_04.png| 60px]][[【十二月短篇】杜野凛世]]<br>안티카와같은 5인 유닛을 제외한 다른 유닛의 그레이드 페스 덱에서 채용의 우선순위에 있는 카드로, 이는 {{vo}} 어필과 함께 {{vo}}{{da}}{{vi}} 80% UP, {{vo}}{{da}}{{vi}} 120% UP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패시브 스킬로도 추억게이지 UP을 보유하여, 카드를 보유중이라면 채용을 우선적으로 고려해볼 만 하다.<br>이 카드가 없는 경우, 추억게이지 UP을 보유한 카드인 [[파일:Icon_Rinze_P_SSR_01.png| 60px]][[【杜野凛世の印象派】杜野凛世]], [[파일:Icon_Rinze_P_SSR_03.png| 60px]][[【水色感情】杜野凛世]]을 사용하기도 한다.<br><br>
+
 
[[파일:Icon_Chiyoko_P_SR_01.png| 60px]][[【純真チョコレート】園田智代子]][[파일:Icon_Chiyoko_P_SR_03.png| 60px]][[【錯覚・Darling】園田智代子]]<br>심사위원에게 어필은 하지 않는 대신, 4턴간 버프를 얻는 어필을 가진 PSR 카드이다. 자주 채용되는 편은 아니지만, 버퍼가 필요하다면 채용을 고려해볼 수 있다.<br>[[파일:Icon_Chiyoko_P_SSR_01.png| 60px]][[【チョコ色×きらきらロマン】園田智代子]]<br> 이 카드가 4특훈이 되어있다면 위의 SR 치요코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
+
==비스트==
 +
<br>비스트는 앞서 서술되어있듯 버프를 소거함으로써 강력한 추억 어필을 사용하는 덱이다. <br><br>
 +
센터로는 주로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2_아사히|FES}}와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5_메이|FES}}를 주로 사용하며 링크어필 발동 기준 {{Vo}}또는{{Da}} Up 합쳐서 4개 및 {{Vi}} Up 4개가 부여되어 있다면 최대 배율로 어필을 한다.  <br><br>
 +
[[파일:Icon_Asahi_P_SSR_02.png|60px]]와 [[파일:Icon_Mei_P_SSR_05.png|60px]] 이 둘의 차이점은 추억어필 링크어필시 [[파일:Icon_Mei_P_SSR_05.png|60px]]는 {{Vi}} 6.5배를 [[파일:Icon_Asahi_P_SSR_02.png|60px]]는 {{Vi}} 6.0배로 어필하여 데미지 배율 자체는 메이를 센터로 기용했을 때 더 높다.<br><br>
 +
하지만 [[파일:Icon_Asahi_P_SSR_02.png|60px]]는 추억 어필 사용시 {{Vo}}&{{Da}}&{{Vi}} Up 1개씩 부여 한 후 링크 어필을 사용하기 때문에 추억어필 전 {{Vo}}또는{{Da}} Up 합쳐서 2개 및 {{Vi}} Up 3개가 부여되어 있다면 최대 배율로 어필이 나가지만, <br><br>
 +
[[파일:Icon_Mei_P_SSR_05.png|60px]]의 경우 추억 어필 사용시 {{Vi}} Up만 1개 부여 한 후 링크 어필을 사용하기 때문에 추억어필 전 {{Vo}}또는{{Da}} Up 합쳐서 4개 및 {{Vi}} Up 3개가 부여되어 있어야만 최대 배율로 어필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아사히 센터에 비하여 필요 턴수가 많아지며, 운영법도 좀 더 까다로워진다.
 +
 
 +
===아사히 센터 비스트===
 +
'''최종 갱신일 2022. 4 / 09'''
 +
====파츠 및 설명====
 +
아사히 센터 비스트를 육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카드들은 다음과 같다.<br>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2_아사히|FES}} 2차 아사히 한정 P카드로 비스트의 핵심 카드다. 추억 어필을 사용할 시 {{Vo}}&{{Da}}&{{Vi}} Up 1개씩 부여 한 후 링크 어필을 사용한다.<br>
 +
그러므로 추억 어필을 사용하기 전 {{Vo}}또는{{Da}} Up 합쳐서 2개 및 {{Vi}} Up 3개가 부여되어 있다면 최대 배율인 {{Vi}} 6배 어필로 링크 어필을 사용하므로. 추억 어필을 사용하기 전 이러한 {{Vo}}&{{Da}}&{{Vi}} Up을 쌓는 것이 비스트의 핵심이다.  <br><br>
 +
 
 +
 
 +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6_메이|FES}} 메이 통상 S카드로. 2특훈 이상이 되어있다면 거의 무조건적으로 채용하는 서포터 카드다.<br>
 +
2특훈시 개방되는 {{Me}} 60% 이상 3턴 이후시 30%로 {{Vi}} 70% Up이 매우 좋은 버프이며. 서포터 스킬이 비주얼 마스터리 sp , 비주얼 마스터리 체력을 가지고 있어 육성시 매우 편리하기 때문에, 3특훈 이상이 되어있다면,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이 있더라도 이 카드를 사용하는것이 권장된다. <br><br>
 +
 
 +
 
 +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5_아사히|FES}} 아사히 한정 S카드로. 비스트의 핵심 서포터 카드다.<br>
 +
비스트는 이 카드의 1특훈시 개방되는 {{Vi}} Up 부여시 {{Vi}}50% Up 버프가 버프를 채워주는 것도 있지만 핵심은  2특훈시 개방되는 {{Vi}} Up 5개 부여시 {{Vi}}100% Up 버프이다. {{Vi}} Up 5개의 경우 아래에서 설명할 [[파일:Icon_Fuyuko_P_SSR_04.png| 60px]] 카드를 이용하면 쉽게 발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4특훈시 개방되는 라이브 어필이 {{Vo}}&{{Da}}&{{Vi}} Up 1개씩 부여 및 다음 턴 흥미 1.5배이기 때문에 이 카드의 어필을 추억어필 전턴에 사용하여 활용할수도 있다. <br><br>
 +
 
 +
 
 +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2_메이|FES}} 메이 한정 S카드다.<br>
 +
이 카드의 1특훈시 개방되는 {{Vo}} Up 부여시 {{Vi}}50% Up 버프와 2특훈시 개방되는 {{Vi}} Up 부여시 {{Vi}}75% Up 버프가 터트리기 쉬워 사용한다면 2특훈은 권장되며 특히 4특훈시 개방되는 라이브 어필이 {{Vo}} Up 2개 {{Vi}} Up 2개를 부여해주므로 카드의 어필을 [[파일:Icon_Fuyuko_P_SSR_04.png|60px]]를 제외한 전원이 배우게 하면 좋다. <br><br>
 +
 
 +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4_후유코|FES}} 4차 후유코 한정 P카드로 비스트의 핵심 P카드 중 하나다. <br>  
 +
기본 어필은 {{Vi}} 3.5배 어필에 {{Vi}} Up 3개를 부여하며, 4특훈 어필은 {{Vi}} 5.0배 어필에 마찬가지로 {{Vi}} Up 3개를 부여한다. 이러한 어필을 통해 {{Vi}} Up 버프트리거를 발동 및 4특훈 시 개방되는 {{Vi}} Up 5개 이상일시 {{Vi}} 120% Up버프를 발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1특훈 때 개방되는 30%의 확률로 3회 발동되는 {{Vi}} 50% Up 버프와, 2특훈 시 개방되는 {{Vi}} Up이 부여되고 있을 때 30%의 확률로 3회 발동되는 {{Vi}} 75% Up 버프는 버프가 다른덱에 비하여 많이 부족한 비스트에게 버프를 높은 확률로 채워준다. 그러므로 이 카드가 있다면 반드시 채용하도록 한다.<br>
 +
만약 4차 후유코가 없다면 1차,3차 쓰알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 카드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br>
 +
[[파일:Icon_Fuyuko_P_SSR_01.png| 60px]][[【オ♡フ♡レ♡コ】黛冬優子]] , [[파일:Icon_Fuyuko_P_SSR_03.png| 60px]][[【starring F】黛冬優子]] 앞의 카드는 후유코 1차 P쓰알이며 뒷 카드는 3차 P쓰알이며 둘 다 통상이기 때문에 접근성이 높다. <br>
 +
[[파일:Icon_Fuyuko_P_SSR_01.png| 60px]]의 경우 기본 어필이 {{Vi}} 3배 어필 및 {{Vi}} Up 2개 , {{Da}} Up 2개를 부여해주므로 0특훈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br>
 +
[[파일:Icon_Fuyuko_P_SSR_03.png| 60px]]의 경우 기본 어필은 {{Vo}} 어필이고 4특훈을 해야만 {{Vi}} 어필이 해금되므로 사용하려면 4특훈이어야 한다. 즉 4특훈이 강제되는 단점은 있으나 만약 이 카드가 4특훈이라면 기본 {{Vi}}어필 배율이 4배이므로 더 강력한 딜을 낼 수 있다. 부여되는 버프는 {{Vo}}&{{Da}} Up 1개씩 및  {{Vi}} Up 2개이므로 메이 S 쓰알의 버프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br>
 +
<br><br>
 +
 
 +
메이의 P카드는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5_메이|FES}} 또는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4_메이|FES}}주로 사용한다.<br>
 +
[[파일:Icon_Mei_P_SSR_05.png| 60px]]는 4특훈 시 개방되는 {{Me}} 60% 이상 3턴 이후시 {{Vi}} 120% Up 및 2특훈시 개방되는 {{Me}} 50% 이상시 {{Vi}} 60% Up, 1특훈 때 개방되는 30%의 확률로 3회 발동되는 {{Vi}} 50% Up 버프 이렇게 총 세가지의 버프를 가지고 있어 메이 카드중 가장 버프수치가 높다. 하지만 자체어필이 부여하는 버프가 {{Vi}} Up 2개만을 부여하고 별도로 {{Vo}}&{{Da}} Up을 부여하지 않으므로 자체어필만을 사용하여 센터의 추억어필 최대배율 조건을 맞추기 위해선 한 턴을 별도의 다른 어필을 사용하거나 또는 최대배율을 포기해야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버프만 채용하고 어필은 [[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나 [[파일:Icon_Asahi_S_SSR_05.png| 60px]]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단 이럴경우 육성시 SP가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br>
 +
 
 +
[[파일:Icon_Mei_P_SSR_04.png| 60px]]의 경우 3특훈시 {{Vi}} 어필이 개방되어 3특훈이 아니면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지만 자체어필 사용시 부여하는 버프가 {{Vi}} Up 2개 & {{Vo}}&{{Da}} Up 1개 를 부여해주므로 링크어필의 소거 조건을 충족시키기도 쉬우며 [[파일:Icon_Fuyuko_P_SSR_04.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5.png| 60px]]의 버프를 발동시키기에도 좋다.  <br>
 +
만약 이 둘이 다 없을 경우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_메이|FES}}를 채용한다. 비록 기본 어필이 {{Vo}} 어필이지만 {{Vi}} Up 2개를 부여해주므로 이 카드의 자체어필 + [[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5.png| 60px]]어필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채용하면 된다. <br>
 +
이 둘의 비교에 대하여 자세히 알고 싶다면 다음의 글을 참고하면 좋다. <br>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hinycolors&no=1035927 4차 메이와 5차 메이 비교]
 +
<br><br>
 +
 
 +
 
 +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4_미코토|FES}} 미코토 한정 S카드로, 비록 타유닛카드지만 만약 있다면 무조건 채용하는 것이 추천되는 카드다.<br>
 +
4특훈시 개방되는 편성 유닛 3종류 이상일 때 20% 확률로 {{Vi}} 120% Up과 1특훈시 개방되는 3턴 이전에 20% 확률로 발동되는 {{Vi}} 50% Up은 비스트의 오랜 문제로 지적되었던 부족한 초반 버프를 채워주며. 2특훈시 개방되는 {{Me}} 70% 이상 3턴 이후 20%의 확률로 발동되는 {{Vi}} 100% Up 버프 또한 추억어필 사용 타이밍에 발동되는 버프이므로 매우 유용한다. 그러나 2특훈 버프 발동 조건은 {{Me}}조건이기 때문에 이 카드를 사용한다면 {{Me}}회복이 있는 [[파일:Icon_Mei_P_SSR_05.png| 60px]]나 [[파일:Icon_Nichika_S_SSR_03.png| 60px]]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br>
 +
특히 이 카드가 비쥬얼 마스터리 - Sp를 가지고 있지 않고, 유닛 마스터리 - Sp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카드와 [[파일:Icon_Nichika_S_SSR_03.png| 60px]]카드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정석이다.  
 +
 
 +
<br><br>
 +
 
 +
언급한 카드 외에 육성시 자주 사용되는 S 카드들은 다음과 같다. <br>
 +
먼저 나오는 순서대로 추천되는 서폿이며, 버프의 경우 별도 언급이 없다면 찍지 않아도 무관하다. <br><br>
 +
 
 +
{{Vo}} 히라메키 :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11_마노|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3_마도카|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7_치유키|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6_마노|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9_마노|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3_후유코|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2_마도카|FES}} <br><br>
 +
[[파일:Icon_Mano_S_SSR_11.png| 60px]]의 버프와 [[파일:Icon_Chiyuki_S_SSR_07.png| 60px]]의 금버프 외에는 버프를 찍지 않아도 무관하다.  <br><br><br>
 +
 
 +
{{Da}} 히라메키 :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3_니치카|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4_유이카|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2_히나나|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1_니치카|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5_메구루|FES}} <br><br>
 +
[[파일:Icon_Nichika_S_SSR_03.png| 60px]]의 버프와 [[파일:Icon_Yuika_S_SSR_04.png| 60px]] [[파일:Icon_Nichika_S_SSR_01.png| 60px]]의 금버프 외에는 버프를 찍지 않아도 무관하다. <br><br><br>
 +
 
 +
{{Vi}} 히라메키 :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7_히오리|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1_미코토|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3_미코토|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2_마미미|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7_마미미|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2_토오루|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5_사쿠야|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5_아마나|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5_텐카|FES}} <br><br>
 +
[[파일:Icon_Hiori_S_SSR_07.png| 60px]] [[파일:Icon_Mikoto_S_SSR_01.png| 60px]] [[파일:Icon_Mikoto_S_SSR_03.png| 60px]] [[파일:Icon_Mamimi_S_SSR_07.png| 60px]] [[파일:Icon_Toru_S_SSR_02.png| 60px]]의 금버프 외에는 버프를 찍지 않아도 무관하다. <br><br><br>
 +
 
 +
{{Me}} 히라메키 :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6_코가네|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2_코이토|FES}}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3_나츠하|FES}} <br><br>
 +
[[파일:Icon_Kogane_S_SSR_06.png| 60px]] [[파일:Icon_Natsuha_S_SSR_03.png| 60px]]의 금버프 외에는 버프를 찍지 않아도 무관하다. <br><br><br>
 +
 
 +
이 카드들은 단순히 예시이며 여기에 언급된 카드 이외에도 자신의 특훈상황과 보유상황에 맞게 적절히 유닛을 편성하여 육성을 하면 된다.
 +
<br><br>
 +
 
 +
====용병 선택====
 +
 
 +
비스트는 3인 유닛이므로 용병 선택이 꽤 자유롭기 때문에 다양한 용병을 사용할 수 있다. 비스트에서 용병에게 요구되는 능력은 다음과 같다. 1. 추억게이지 펌핑 2. 우수한 버프 제공 3. 버프 조건 충족 또는 추억 어필 조건 충족을 위한 {{Vo}} & {{Da}} & {{Vi}} Up 부여 그러므로 이러한 조건을 채워줄 수 있는 용병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br><br>
 +
 
 +
[[파일:Icon_Sakuya_P_SSR_04.png| 60px]][[【海と太陽のプロメッサ】白瀬咲耶]]<br>
 +
기본 어필과 4특훈 어필이 3턴간 50% 흥미 감소 및 추억게이지 Up 어필을 가지고 있는 4차 사쿠야의 경우 흥미 감소를 통해 비스메,보칠,보스트,보클 등 다양한 덱들을 견제할 수 있으며 추억게이지 Up을 가지고 있어 매우 유동적으로 사용하기 쉽다. <br><br>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3_히나나|FES}}<br>
 +
3차 히나나의 경우 다음과 같은 3가지 버프를 가지고 있다.<br><br>
 +
1. 히나나가 참여하고 있을 경우 Vi 50% Up 및 리액션 회피 10% Up , 20% 확률로 2회 발동<br>
 +
이 버프의 경우 우선 발동 조건이 아예 없기 때문에 1턴부터 터질 수 있기에 또한 리액션 회피 10%는 히나나의 3번째 버프를 발동시키기 위한 멘탈조건을 만족시켜주는데 도움을 준다<br><br>
 +
2. 3턴 이후에 Vi 50% Up 및 리액션 회피 20% Up , 50% 확률로 1회 발동<br>
 +
이 버프의 경우 핵심은 3턴 이후 1회만 발동한다는 것인데 기본적으로 히나나를 리더에 넣는다고 가정하면 올라운드 1,2 리더적정 1,2를 찍었다는 전제하에 버프는 95%의 확률로 발동되며 즉 정말 운이 없는 것이 아닌이상 거의 무조건적인 확률로 3턴에 터진다. 그러므로 리액션 회피 20%가 있으므로 멘탈조건을 충족시키는데 도움을 주기도 하며, 또한 오모이데를 쓸 4턴 OR 5턴에 버프 칸수를 잡아먹지도 않아서 고배율 버프가 하나라도 더 터지게 해준다.<br><br>
 +
3. 4턴 이후에 멘탈 60% 이상시 Vi 150% Up , 50%확률로 2회 발동<br>
 +
요번 히나나의 핵심 버프로 사실상 히나나를 채용하는 이유로 바닐라룰을 제외하면 보통 4턴에 전순퍼라를 노리게 되는 비스트이기 때문에, 4턴부터 터지는 고배율 Vi 버프는 매우 매력적인 버프이다. 특히 150%라는 수치는 꽃메이 금벞 2배, 사과히 금벞의 1.5배라는 아주 큰 수치이므로 비스트의 버프 포텐을 아주 크게 올려준다.<br><br>
 +
그러므로 4턴까지가는 접대룰에선 버프용 용병으로 굉장히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남은 한 자리는 오모이데 펌핑 용병을 사용하거나 또는 탠션상태가 좋을 때 사용하면 좋다.  히나나 용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의 글에 적혀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hinycolors&no=787503]]
 
<br><br>
 
<br><br>
   −
==비쥬얼 스트레이라이트==
+
[[파일:Icon_Toru_P_SSR_03.png| 60px]][[【つづく、】浅倉透]]]<br>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空と青とアイツ】芹沢あさひ]]의 강력한 전관객 {{vi}} 2.5배와 4배 어필, 그리고 조건부 {{vi}} 6배 추억 어필이 주축이 되는 덱이다. 강력한 전관객 어필과 고배율 버프 및 상한을 위해서 해당 카드의 4회 특훈이 권장된다.
+
3차 토오루의 경우 1특훈시 개방되는 3턴 이후 {{Vi}} 50% Up , 2특훈 시 개방되는 {{Vi}} Up 부여시 {{Vi}} 50% Up 및 리액션 회피율 20% Up, 4특훈시 개방 되는 {{Vi}} 75% Up 버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버프들은 발동 조건도 까다롭지 않으며 발동 확률도 30%, 35% 이기 때문에 금벞이 부족한 비스트에게 많은 버프를 제공해준다. 물론 2특훈시 개방되는 버프의 리액션 회피율 20%는 [[파일:Icon_Yuika_S_SSR_04.png| 60px]] 버프조건을 터트리는데 방해가 될 수도 있지만 그 정도 위험을 감수하고도 채용할 만큼 버프를 많이 제공해준다. 이 카드를 채용할 경우 버프가 목적이기 때문에 주로 Le자리에 채용한다. <br><br>
 +
 
 +
[[파일:Icon_Rinze_P_SSR_05.png| 60px]][[【われにかへれ】杜野凛世]]<br>
 +
1특훈 시 개방되는 4턴 이전 {{Vi}} 40% Up 및 추억 게이지 20% Up을 목적으로 주로 사용하여 리더로 주로 사용한다. 버프 뿐만 아니라 자체 어필도 기본 어필은 {{Vi}} 3.5배 어필 및 {{Vo}} & {{Da}} & {{Vi}} 50% Up 및 멘탈 데미지 50% Up , 4특훈 어필은 {{Vi}} 5배 어필 및 {{Vo}} & {{Da}} & {{Vi}} 80% Up 및 멘탈 데미지 50% Up 이므로 {{Vo}} & {{Da}} & {{Vi}} Up을 전부 부여해주어 버프 트리거 발동 및 추억어필 소거조건을 달성하기 쉽다.  <br><br>
 +
 
 +
[[파일:Icon_Mano_P_SSR_06.png| 60px]][[【花風Smiley】櫻木真乃]]<br>
 +
6차 마노의 경우 1특훈시 개방되는 {{Vo}} & {{Da}} & {{Vi}} Up 부여시 {{Vo}} & {{Da}} & {{Vi}} 50% Up 및 4특훈시 개방되는 {{Vo}} & {{Da}} & {{Vi}} Up 부여시 {{Vo}} & {{Da}} & {{Vi}} 100% Up 버프를 보고 사용한다. {{Vo}} & {{Da}} & {{Vi}} Up 이 한 번에 부여되어 있어야 버프가 발동되는 단점이 있지만, [[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어필을 채용하거나 메이의 P카드를 [[파일:Icon_Mei_P_SSR_04.png| 60px]]를 사용할 경우 의외로 쉽게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파일:Icon_Toru_P_SSR_03.png| 60px]] 카드에 비하여 버프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조건적이지만 대신 버프칸을  2개만 사용하는 것으로 150% 버프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br><br>
 +
 
 +
[[파일:Icon_Chiyoko_P_SSR_05.png| 60px]][[【プリティ・スイート】園田智代子]]<br>
 +
5차 치요코의 경우 어필만을 보고 채용한다. 치요코의 어필은 사용한 턴을 기준 3턴 뒤 부터 2턴 동안 흥미 100% Up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처음 매칭을 보고 1턴에 가장 피가 덜 찰것 같은 심사위원에게 치요코 어필을 써두고 2턴, 3턴을 후유코랑 메이 어필을 사용한 뒤 흥미 100%가 적용되는 4턴에 오모이데를 사용함으로써 전순퍼라를 먹는 전략을 설계할 수 있다. <br><br>
 +
 
 +
[[파일:Icon_Kaho_P_SSR_05.png| 60px]][[【日刊ウィズ・ユー!】小宮果穂]]<br>
 +
5차 카호의 경우 치요코와 마찬가지로 어필만을 보고 채용한다. 치요코의 어필은 단일 대상을 상대로 어필을 사용한 턴을 기준 3턴 뒤 부터 2턴 동안 흥미 100% Up인 것에 비해 카호의 어필은 전 심사위원에게 어필을 사용한 턴을 기준 2턴 뒤 부터 3턴 동안 흥미 25% 가 적용되는 차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매칭되는 상대, 본인의 첫 패 등을 보고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카호의 어필을 사용해서 마찬가지로 전순퍼라를 설계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br><br>
 +
 
 +
[[파일:Icon_Rinze_P_SSR_01.png|60px]][[【杜野凛世の印象派】杜野凛世]]<br>
 +
특훈 없이도 {{Vo}} 3배와 함께 추억게이지 10% Up인 어필을 보유하였으며, 2특훈 시 개방되는 추억게이지 Up 버프를 가진 1차 린제의 경우 이 추억게이지 Up 버프가 위에서 소개한 5차 린제와 스알 린제에 비하여 발동확률이 2배이며, 발동횟수도 1회가 아닌 2회이므로 추억 게이지 증가만을 따진다면 가장 많이 추가해준다. <br><br>
 +
 
 +
[[파일:Icon_Rinze_P_SR_02.png|60px]][[【凛凛、凛世】杜野凛世]]<br>
 +
2특훈 시 개방되는 3턴 이전 추억게이지 20% Up 버프를 목적으로 사용한다.<br><br>
 +
 
 +
[[파일:Icon_Yuika_P_SSR_01.png| 60px]][[【お試し/みつゴコロ】三峰結華]]<br>
 +
기본 어필이 {{Vi}} 3.5배 어필 및 자신의 멘탈을 35% 줄이는 것이므로 [[파일:Icon_Yuika_S_SSR_04.png| 60px]] 버프를 원하는 타이밍에 발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br><br>
 +
 
 +
[[파일:Icon_Mamimi_P_SSR_04.png| 60px]][[【フィドル・ファドル】田中摩美々]]<br>
 +
기본 어필은 자신의 주목도와 멘탈에 따라 전관객에게 {{Vi}} 최대 4.5배 어필 및 4특훈 어필은 전관객에게 {{Vi}} 최대 6.5배 어필이므로 딜러로 사용할 수 있다. <br><br>
 +
 
 +
[[파일:Icon_Mamimi_P_SSR_05.png| 60px]][[【真・TRAVELER】田中摩美々]]<br>
 +
기본 어필이 {{Vi}} 반드시 최초로 3.5배 어필 및 자신의 멘탈을 20% 줄이는 것이므로 [[파일:Icon_Yuika_S_SSR_04.png| 60px]] 버프를 원하는 타이밍에 발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br><br>
 +
 
 +
[[파일:Icon_Kiriko_P_SSR_03.png| 60px]][[【菜・菜・輪・舞】幽谷霧子]]<br>
 +
기본 어필이 4턴간 {{vi}} 100% UP 어필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른 쓸만한 카드가 없다면 사용을 고려해보자.<br><br>
 +
 
 +
[[파일:Icon_Kogane_P_SR_02.png| 60px]][[【ビ~♡バップ海岸】月岡恋鐘]]<br>
 +
4특훈 어필이 3턴간 {{vi}} 150% UP 및 멘탈 데미지 70% 증가이므로 다른 쓸만한 카드가 없다면 사용을 고려해볼 수 있다. <br><br>
 +
 
 +
[[파일:Icon_Chiyoko_P_SR_01.png| 60px]][[【純真チョコレート】園田智代子]][[파일:Icon_Chiyoko_P_SR_03.png| 60px]][[【錯覚・Darling】園田智代子]]<br>
 +
심사위원에게 어필은 하지 않는 대신, 4턴간 {{Vo}} & {{Da}} & {{Vi}} Up 버프를 얻는 어필을 가진 카드이다. 버퍼가 필요하다면 채용을 고려해볼 수 있다.<br><br>
 +
 
 +
이외의 용병에 대한 설명은 다음의 글을 참고하길 바란다.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hinycolors&no=699465]]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hinycolors&no=699525]]
 +
 
 +
<br>
 +
비게되는 두자리에 무엇을 쓸 지는 전적으로 본인의 카드풀에 달려있으므로 G.R.A.D 육성시 획득할 어빌리티인 '아이돌과의 인연'과 서폿 카드와의 궁합등을 잘 고려하여, 본인에게 맞는 카드를 선택하자. <br><br>
 +
 
 +
==== 권장 특훈 순서 ====
 +
비스트를 구성할 경우 권장되는 특훈순서는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1_후유코|FES}}이 4특훈인지 아닌지에 따라 달라지며 권장특훈순서는 모든카드가 0특훈일때 기준이다. <br>
 +
또한 만약 {{틀:아이돌 바로가기|S-SSR4_미코토|FES}}를 가지고 있다면, 4후유를 4특훈한 이후 이 카드를 4특훈을 해준 후 아래의 순서를 따르면 된다. <br><br>
 +
 
 +
-'''A''' [[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이 4특훈일 경우 <br>
 +
1. [[파일:Icon_Fuyuko_P_SSR_04.png| 60px]] 4특훈, 비스트는 추억 어필 한 방이 중요하기 때문에 추억 어필 사용시 버프 수치의 총합이 굉장히 중요하다. 4후유코는 앞서 말했듯 4특훈시 {{Vi}} Up 5개 이상일시 {{Vi}} 120% Up버프가 개방되는 이 버프조건을 메이 P카드에게 [[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 어필을 배우게 하고 이카드의 어필과 메이 어필을 사용한다면 최소2턴 최대 3턴 이내에는 {{Vi}} Up 5개를 채울 수 있고. 추억 어필시 이 버프가 발동되어 강력한 버프를 노릴 수 있다. 또한 어필도 4특훈시 개방되므로, 이 카드를 먼저 4특훈 하여 후유코 어필을 자체 어필 2개를 채용하여 {{Vi}} Up 5개 이상을 채우기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br>
 +
2. [[파일:Icon_Asahi_S_SSR_05.png| 60px]] 3특훈, 위에서 설망한 이유대로 A의 조건에선 {{Vi}} Up 5개를 채우기가 쉽다. 그러므로 이 카드를 상한 + 금버프가 열리는 3특훈까지 해주어 상한과 버프를 챙기도록 한다.<br>
 +
3.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 4특훈, 이때 주의할점은 0특훈 어필은 가급적 채용하지 않는 편이 좋다.
 +
링크어필이 완성되었을 때 추억 어필이 아닌 아사히의 자체 어필을 사용할 경우 자체어필의 링크어필이 {{Vo}}&{{Da}}&{{Vi}} Up을 소거하고 추가적으로 어필을 한다. 이 때 4특훈 어필의 경우 {{Vo}}&{{Da}} Up만을 소거하므로 [[파일:Icon_Fuyuko_P_SSR_04.png| 60px]] 와 [[파일:Icon_Asahi_S_SSR_05.png| 60px]]의 금버프 발동 조건을 해치지 않으며, 추억어필시 데미지 배율도 많이 떨어트리지 않는다. 하지만 0특훈 어필의 경우 {{Vi}} Up을 소거하여 버프 발동 조건을 해치면서 데미지 배율 손해도 막심해진다. 그러므로 0특훈 자체 어필을 무조건 링크 어필이 완성되기 전에 사용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운영난이도가 높아진다. 그러므로 자체어필을 사용하기보다 차라리 {{Vo}}&{{Da}}&{{Vi}} Up을 부여해주는 서포터카드 어필을 배운 후 그것을 사용하는게 운용난이도가 낮아진다. 그러므로 자체어필이 열리는 4특훈까지 해준다.<br>
 +
4. [[파일:Icon_Mei_P_SSR_05.png| 60px]]를 사용한다면 4특훈을 해준 후, 다른 좋은 한정 용병들과 서포터 카드들을 본인의 카드풀에 맞게 특훈해준다. 그 이후로 S하즈키씨가 남을 경우 [[파일:Icon_Asahi_S_SSR_05.png| 60px]]가 4특훈에서 비주얼 마스터리 sp가 최대로 될 뿐더라 자체 어필을 메이 P카드에서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파일:Icon_Asahi_S_SSR_05.png| 60px]]를 4특훈 해준다. <br><br><br>
 +
 
 +
-'''B''' : [[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이 4특훈이 아닐경우 <br>
 +
1. [[파일:Icon_Fuyuko_P_SSR_04.png| 60px]] 4특훈, 자세한 이유는 위의 A 케이스의 이유와 같다.<br>
 +
2. [[파일:Icon_Asahi_S_SSR_05.png| 60px]] 4특훈, 위 케이스와 다르게 4특훈까지 해준다. 그 이유는  [[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이 4특훈이 아닐 경우 메이의 어필을 자체어필을 제외하곤 마땅히 채용할만한 어필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Vo}}&{{Da}}&{{Vi}} Up을 1개씩 부여해주면서 다음턴에 흥미 1.5배까지 부여해주는 어필이 개방되는 4특훈까지 해준 후. 이 어필을 메이 및 다른 용병들에게도 배우게 해준다.<br>
 +
3.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 4특훈, 이유는 A의 케이스와 같다. <br>
 +
4. [[파일:Icon_Mei_P_SSR_05.png| 60px]]를 사용한다면 4특훈을 해준 후, 다른 좋은 한정 용병들과 서포터 카드들을 본인의 카드풀에 맞게 특훈해준다. <br><br><br>
 +
 
 +
==== 편성예시 ====
 +
 
 +
다음은  덱의 구성 예이다.<br>
 +
PSSR의 순서는 리더 / 보컬 / 센터 / 댄스 / 비쥬얼 이다.<br><br>
 +
 
 +
다음은 2021/08/31~2021/09/10 시즌에 그7에서 전순퍼라를 달성한 덱의 예시다.<br><br>
 +
[[파일:Icon_Toru_P_SSR_03.png| 60px]]    [[파일:Icon_Asahi_S_SSR_05.png| 60px]][[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Madoka_S_SSR_03.png| 60px]][[파일:Icon_Kogane_S_SSR_06.png| 60px]][[파일:Icon_Sakuya_S_SSR_05.png| 60px]]<br>
 +
[[파일:Icon_Sakuya_P_SSR_04.png| 60px]]  [[파일:Icon_Asahi_S_SSR_05.png| 60px]][[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Yuika_S_SSR_04.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br>
 +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Madoka_S_SSR_03.png| 60px]][[파일:Icon_Yuika_S_SSR_04.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파일:Icon_Sakuya_S_SSR_05.png| 60px]]<br>
 +
[[파일:Icon_Mei_P_SSR_04.png| 60px]]    [[파일:Icon_Asahi_S_SSR_05.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Yuika_S_SSR_04.png| 60px]][[파일:Icon_Kogane_S_SSR_06.png| 60px]][[파일:Icon_Sakuya_S_SSR_05.png| 60px]]<br>
 +
[[파일:Icon_Fuyuko_P_SSR_04.png| 60px]]  [[파일:Icon_Madoka_S_SSR_03.png| 60px]][[파일:Icon_Yuika_S_SSR_04.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파일:Icon_Kogane_S_SSR_06.png| 60px]][[파일:Icon_Sakuya_S_SSR_05.png| 60px]]<br>
 +
<br><br>
 +
 
 +
다음은 2021/09/30~2021/10/31 시즌에 그7에서 전순퍼라를 달성한 덱의 예시다.<br><br>
 +
[[파일:Icon_Hinana_P_SSR_03.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5.png| 60px]][[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Madoka_S_SSR_03.png| 60px]][[파일:Icon_Sakuya_S_SSR_05.png| 60px]][[파일:Icon_Kogane_S_SSR_06.png| 60px]]<br>
 +
[[파일:Icon_Sakuya_P_SSR_04.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5.png| 60px]][[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Yuika_S_SSR_04.png| 60px]][[파일:Icon_Hiori_S_SSR_07.png| 60px]]<br>
 +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Madoka_S_SSR_03.png| 60px]][[파일:Icon_Yuika_S_SSR_04.png| 60px]][[파일:Icon_Sakuya_S_SSR_05.png| 60px]][[파일:Icon_Hiori_S_SSR_07.png| 60px]]<br>
 +
[[파일:Icon_Mei_P_SSR_04.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5.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Yuika_S_SSR_04.png| 60px]][[파일:Icon_Sakuya_S_SSR_05.png| 60px]][[파일:Icon_Kogane_S_SSR_06.png| 60px]]<br>
 +
[[파일:Icon_Fuyuko_P_SSR_04.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5.png| 60px]][[파일:Icon_Madoka_S_SSR_03.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파일:Icon_Kogane_S_SSR_06.png| 60px]][[파일:Icon_Hiori_S_SSR_07.png| 60px]]<br>
 +
<br><br>
 +
 
 +
다음은 2022/03/19~2022/04/01 시즌에 그7에서 전순퍼라를 달성한 덱의 예시다.<br><br>
 +
[[파일:Icon_Rinze_P_SSR_05.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5.png| 60px]][[파일:Icon_Mei_S_SSR_06.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Nichika_S_SSR_03.png| 60px]][[파일:Icon_Mikoto_S_SSR_04.png| 60px]]<br>
 +
 
 +
[[파일:Icon_Mei_P_SSR_05.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5.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Kogane_S_SSR_06.png| 60px]][[파일:Icon_Nichika_S_SSR_03.png| 60px]][[파일:Icon_Mikoto_S_SSR_04.png| 60px]]<br>
 +
 
 +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파일:Icon_Mano_S_SSR_11.png| 60px]][[파일:Icon_Hiori_S_SSR_07.png| 60px]][[파일:Icon_Kogane_S_SSR_06.png| 60px]][[파일:Icon_Nichika_S_SSR_03.png| 60px]][[파일:Icon_Mikoto_S_SSR_04.png| 60px]]<br>
 +
 
 +
[[파일:Icon_Hinana_P_SSR_03.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5.png| 60px]][[파일:Icon_Mei_S_SSR_06.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Nichika_S_SSR_03.png| 60px]][[파일:Icon_Mikoto_S_SSR_04.png| 60px]]<br>
 +
 
 +
[[파일:Icon_Fuyuko_P_SSR_04.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5.png| 60px]][[파일:Icon_Mei_S_SSR_06.png| 60px]][[파일:Icon_Mano_S_SSR_11.png| 60px]][[파일:Icon_Hiori_S_SSR_07.png| 60px]][[파일:Icon_Mikoto_S_SSR_04.png| 60px]]<br>
 +
<br><br>
 +
 
 +
== 댄스 스트레이라이트 ==
 +
[[파일:Icon_Fuyuko_P_SSR_02.png| 60px]][[【アンシーン・ダブルキャスト】黛冬優子]]의 강력한 {{Da}} 3.5배와 5배 및 추억게이지 UP 어필, 그리고 조건부 {{Da}} 6배 추억 어필이 주축이 되는 덱이다. 강력한 고배율 어필과 버프 및 상한을 위해서 해당 카드의 4회 특훈이 권장된다.
 +
 
 +
댄스트에서는 [[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今日の手は空を切らない】芹沢あさひ]]의 4회 특훈이 필수적인데, 이는 이 카드에 존재하는 {{Da}} UP 버프와, 4회 특훈시 습득할 수 있는 어필인 {{Da}} 3배 어필 및 {{Da}}{{Vi}} 5%, 10% UP 때문이다. 이 카드의 4회 특훈 어필을 대체할 수 있는 카드가 [[파일:Icon_Asahi_S_SSR_02.png| 60px]]의 4회 특훈을 제외하면 사실상 없기 때문에, 이 카드가 없다면 섣부르게 시도하지 않는 편이 좋다.
   −
비스트에서는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うち来る~!?】和泉愛依]]의 4회 특훈이 필수적인데, 이는 {{Vi}} 고배율 버프와 4회 특훈시 획득 가능한 {{Vi}} 3배 어필 및 {{vo}}{{Vi}} 5%, 10% UP 어필때문이다.
  −
<BR><BR>
   
=== 사용되는 PSSR 카드 ===
 
=== 사용되는 PSSR 카드 ===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타 유닛을 채용하는 경우, 유닛별로 나누어서 소개한다.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타 유닛을 채용하는 경우, 유닛별로 나누어서 소개한다.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div>
+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일루미네이션 스타즈====
 
====일루미네이션 스타즈====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br>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br>
 
일루미는 어필과 동시에 버프를 획득하는 경우가 많아, 스트레이라이트와 궁합이 괜찮은 편이다.<br><br>
 
일루미는 어필과 동시에 버프를 획득하는 경우가 많아, 스트레이라이트와 궁합이 괜찮은 편이다.<br><br>
[[파일:Icon_Mano_P_SSR_03.png| 60px]][[【はじけてスマイル】櫻木真乃]]<br>[[파일:Icon_Mano_P_SSR_04.png| 60px]][[【深染め、いろみぐさ】櫻木真乃]]<br> 위 두카드 모두 어필과 함께 버프를 획득할 수 있어 가끔 사용된다.<br><br>
+
[[파일:Icon_Mano_P_SSR_03.png| 60px]][[【はじけてスマイル】櫻木真乃]]<br>[[파일:Icon_Mano_P_SSR_04.png| 60px]][[【深染め、いろみぐさ】櫻木真乃]]<br> 위 두 카드 모두 어필과 함께 버프를 획득할 수 있어 가끔 사용된다.<br><br>
[[파일:Icon_Hiori_P_SSR_02.png| 60px]][[【淡雪の戯れ】風野灯織]]<br>[[파일:Icon_Hiori_P_SSR_03.png| 60px]][[【伸ばす手に乗せるのは】風野灯織]]<br> 어필과 동시에 버프를 획득할 수 있으나, 성능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니기에 후순위로 사용된다.<br><br>
+
[[파일:Icon_Hiori_P_SSR_03.png| 60px]][[【淡雪の戯れ】風野灯織]]<br>어필과 동시에 버프를 획득할 수 있으나, 성능이 좋지 않기 때문에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br><br>
[[파일:Icon_Meguru_P_SSR_05.png| 60px]][[【アイの誓い】八宮めぐる]]<br>한정카드인 5차 메구루는 준수한 성능과 버프를 보유했기때문에, 비스트에 일루미를 사용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편이다.<br><br>
+
[[파일:Icon_Hiori_P_SSR_04.png| 60px]][[【伸ばす手に乗せるのは】風野灯織]]<br>가끔 사용된다.<br><br>
 +
[[파일:Icon_Meguru_P_SSR_05.png| 60px]][[【アイの誓い】八宮めぐる]]<br>한정카드인 5차 메구루는 준수한 성능과 버프를 보유했기때문에, 댄스트에 일루미를 사용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편이다.<br><br>
 
</div></div>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35번째 줄: 218번째 줄:  
====안티카====
 
====안티카====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br>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br>
[[파일:Icon_Sakuya_P_SSR_04.png| 60px]][[【海と太陽のプロメッサ】白瀬咲耶]]<br>상당히 좋은 흥미도 감소 어필을 지닌 4차 사쿠야이다. 하지만 비스트와 함께 쓰이는 경우는 많지 않다.<br><br>
+
[[파일:Icon_Sakuya_P_SSR_04.png| 60px]][[【海と太陽のプロメッサ】白瀬咲耶]]<br>상당히 좋은 흥미도 감소 어필을 지닌 4차 사쿠야이다. 댄스트와 같이 쓰이기도 한다.<br><br>
[[파일:Icon_Kogane_P_SR_02.png| 60px]][[【ビ~♡バップ海岸】月岡恋鐘]]<br> 3턴간 {{vi}} 150% UP 어필을 지녀 버퍼로 가끔 채용된다.
   
<br><br>
 
<br><br>
 +
[[파일:Icon_Yuika_P_SSR_04.png| 60px]][[【く ら く ら】三峰結華]]<br>자해 어필을 통해서 원하는 타이밍에 버프를 발동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위의 사쿠야와 함께 사용하여 유닛 보너스도 챙길 겸 사용된다.<br><br>
 
</div></div>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45번째 줄: 228번째 줄:  
====방과후 클라이맥스 걸즈====
 
====방과후 클라이맥스 걸즈====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br>방클걸의 경우 뛰어난 버퍼와 강력한 보조 딜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br><br>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br>방클걸의 경우 뛰어난 버퍼와 강력한 보조 딜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br><br>
[[파일:Icon_Rinze_P_SSR_04.png| 60px]][[【十二月短篇】杜野凛世]]<br>[[파일:Icon_Rinze_P_SSR_01.png| 60px]][[【杜野凛世の印象派】杜野凛世]] [[파일:Icon_Rinze_P_SSR_03.png| 60px]][[【水色感情】杜野凛世]]<br>[[파일:Icon_Chiyoko_P_SSR_01.png| 60px]][[【チョコ色×きらきらロマン】園田智代子]]<br>[[파일:Icon_Chiyoko_P_SR_01.png| 60px]][[【純真チョコレート】園田智代子]] [[파일:Icon_Chiyoko_P_SR_03.png| 60px]][[【錯覚・Darling】園田智代子]]<br>위에서 소개한 버퍼로, 설명은 생략한다.<br><br>
+
[[파일:Icon_Rinze_P_SSR_04.png| 60px]][[【十二月短篇】杜野凛世]]<br><br>안티카와같은 5인 유닛을 제외한 다른 유닛의 그레이드 페스 덱에서 채용의 우선순위에 있는 카드로, 이는 {{vo}} 어필과 함께 {{vo}}{{da}}{{vi}} 80% UP, {{vo}}{{da}}{{vi}} 120% UP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패시브 스킬로도 추억게이지 UP을 보유하여, 이 카드를 보유중이라면 채용을 우선적으로 고려해볼 만 하다.<br>이 카드가 없는 경우, 추억게이지 UP을 보유한 카드인 [[파일:Icon_Rinze_P_SSR_01.png| 60px]][[【杜野凛世の印象派】杜野凛世]], [[파일:Icon_Rinze_P_SSR_03.png| 60px]][[【水色感情】杜野凛世]]을 사용하기도 한다.<br><br>
[[파일:Icon_Juri_P_SSR_03.png| 60px]][[【曲がり角のランウェイ】西城樹里]]<br>
+
[[파일:Icon_Chiyoko_P_SR_01.png| 60px]][[【純真チョコレート】園田智代子]][[파일:Icon_Chiyoko_P_SR_03.png| 60px]][[【錯覚・Darling】園田智代子]]<br>심사위원에게 어필은 하지 않는 대신, 4턴간 버프를 얻는 어필을 가진 PSR 카드이다. 자주 채용되는 편은 아니지만, 버퍼가 필요하다면 채용을 고려해볼 수 있다.<br>[[파일:Icon_Chiyoko_P_SSR_01.png| 60px]][[【チョコ色×きらきらロマン】園田智代子]]<br> 이 카드가 4특훈이 되어있다면 위의 SR 치요코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br><br>
[[파일:Icon_Juri_P_SSR_04.png| 60px]][[【誰が為シンパシー】西城樹里]]<br>보조 비쥬얼 딜러 겸 버퍼로 가끔 사용된다.<br><br>
+
[[파일:Icon_Kaho_P_SSR_04.png| 60px]][[【エクストリーム・ブレイク!】小宮果穂]]<br>{{da}} 어필과 함께 추억 게이지 UP 버프를 얻는 카드이기 때문에 사용된다.<br><br>
[[파일:Icon_Natsuha_P_SSR_01.png| 60px]][[【アルティメットマーメイド】有栖川夏葉]]<br> 비쥬얼 딜러 겸 버퍼로 사용된다. 버프가 전 유닛 적용이라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br><br>
+
[[파일:Icon_Chiyoko_P_SSR_03.png| 60px]][[【かきまぜたら*ミルク】園田智代子]]<br>{{da}}어필과 함께 준수한 버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되며, 자체 패시브 스킬 또한 좋다.<br><br>
[[파일:Icon_Natsuha_P_SSR_03.png| 60px]][[【Ring a bell】有栖川夏葉]]<br>전관객 어필을 보유한 비쥬얼 딜러로 사용되며, 자체 버프도 좋은 편이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채용된다.<br><br>
+
[[파일:Icon_Natsuha_P_SSR_04.png| 60px]][[【♡AKQJ10】有栖川夏葉]]<br>{{Da}}어필과 함께 추억 게이지 UP 버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된다. 특훈이 되어있지 않아도 괜찮은 어필을 보유한 것은 장점이지만, 댄스에 크게 특화되지 않았다는 것은 단점으로 작용한다.<br><br>
[[파일:Icon_Natsuha_P_SSR_04.png| 60px]][[【♡AKQJ10】有栖川夏葉]]<br>4회 특훈시 강력한 비쥬얼 딜과 함께 추억어필 게이지도 함께 획득할 있는 카드이다.<br><br>
+
[[파일:Icon_Natsuha_P_SSR_05.png| 60px]][[【cheer+】有栖川夏葉]]<br>퍼펙트,흥미 무시 및 주목도UP 어필을 보유하여 성능은 무난한 편이며, [[파일:Icon_Natsuha_S_SSR_05.png| 60px]][[【Sr×Ba×Cu=】有栖川夏葉]]를 SSSR로 사용하여 G.R.A.D 에서 인연 또한 챙길 있으므로 사용하기 적당하다.<br><br>
 
</div></div>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div></div>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
 
====알스트로메리아====
 
====알스트로메리아====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br>
 
<br>
알스메의 경우 매우 강력한 {{vi}} 딜러가 존재하지만, 체력 비례 어필을 비스트로는 만족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스트에서 알스메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역으로 알스메에서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空と青とアイツ】芹沢あさひ]]를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
+
알스메의 {{da}}특화 카드들의 성능은 좋지만, 댄스트에서 체력비례 어필을 만족시키기는 어렵기 때문에 흔하게 사용되지는 않는다.<br><br>
 
+
[[파일:Icon_Tenka_P_SSR_02.png| 60px]][[【好きなものはなんですか?】大崎甜花]]<br>전관객 어필을 보유한 좋은 카드이긴 하나, 위의 이유로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다.
[[파일:Icon_Tenka_P_SSR_04.png| 60px]][[【四夜一夜物語】大崎甜花]]<br>전관객 어필을 보유한 카드로, 비쥬얼 딜러로 사용되며, 자체 버프도 좋은 편이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채용된다.<br><br>
+
<br><br>
[[파일:Icon_Amana_P_SSR_02.png| 60px]][[【ゆらゆらアクアリウム】大崎甘奈]]<br>[[파일:Icon_Amana_P_SSR_04.png| 60px]][[【お散歩サンライト】大崎甘奈]]<br>[[파일:Icon_Chiyuki_P_SSR_04.png| 60px]][[【はるかぜまち、1番地】桑山千雪]]<br>
  −
위의 텐카와 함께 비쥬얼 딜러로 사용된다.<br><br>
   
</div></div>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div></div>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스트레이라이트====
 
====스트레이라이트====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br>
 
<br>
[[파일:Icon_Fuyuko_P_SSR_01.png| 60px]][[【オ♡フ♡レ♡コ】黛冬優子]]<br>특훈하지 않아도 비스트에서 사용하기 좋은 어필을 가지고 있고, 2회 특훈시 준수한 버프, 3회 특훈시 {{vi}} 상한 + 200 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사용된다. 이 카드가 없는 경우 아이돌로드로 얻을 수있는 후유코를 사용하기도 한다.<br><br>
+
[[파일:Icon_Mei_P_SSR_02.png| 60px]][[【メイ・ビー】和泉愛依]]<br>댄스 딜러로 채용된다. 성능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니기 때문에 아이돌로드 메이를 사용하는 경우도 흔하다.<br><br>
[[파일:Icon_Mei_P_SSR_01.png| 60px]][[【ちょっとあげる~】和泉愛依]]<br>4회 특훈된 이 카드를 {{Vi}} 특화로 육성하여 사용하거나, 4회 특훈이 아닌 경우 보컬 특화로 육성하는 등 사람에 따라서 다양하게 사용된다.<br><br>
+
[[파일:Icon_Mei_P_SR_03.png| 60px]][[【ご褒美、いるよね♪】和泉愛依]]<br>아이돌로드 메이는 어필시 버프를 획득하지 않아 부족한 느낌이 있기에, 어필 배율은 낮아도 어필과 동시에 버프를 획득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된다.<br><br>
[[파일:Icon_Mei_P_SR_03.png| 60px]][[【ご褒美、いるよね♪】和泉愛依]]<br>위의 1차 메이가 4회 특훈은 아니지만, 메이를 {{vi}} 특화로 육성하고 싶은 경우 사용되는 이벤트 PSR카드이다.<br><br>
+
댄스트에서 아사히는 댄스트를 강화하기 위해 {{Da}} 특화로 사용하는 경우와, 강력한 {{vi}} 전관객 어필을 사용하기 위해 2차 아사히를 사용하는 경우로 나뉜다.<br><br>
 +
[[파일:Icon_Asahi_P_SSR_01.png| 60px]][[【ジャンプ!スタッグ!!!】芹沢あさひ]]<br>댄스트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카드로, 그리 좋은 성능은 아니지만, 다른 카드가 없기 때문에 사용된다.<br><br>
 +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空と青とアイツ】芹沢あさひ]]<br>비스트에서 센터로 사용되는 2차 아사히이다. 댄스트에서는 비쥬얼 담당으로 댄스트에서도 강력한 {{vi}} 전관객 어필을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카드를 댄스트에서도 채용할 때에는 페스 아이돌을 육성할 때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와 함께하여 페스 유닛의 {{vi}} 스텟을 높게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
 
</div></div>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82번째 줄: 265번째 줄: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br>
 
<br>
녹칠의 경우 아직 많은 카드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비스트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
녹칠의 경우 아직 많은 카드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댄스트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div></div>
 
</div></div>
 
</div></div>
 
</div></div>
 +
<br><br>
   −
=== 사용되는 SSSR 카드 ===
+
===사용되는 SSSR 카드===
 
<br>
 
<br>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div></div>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비스트에서 보유중이라면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서포트SSR 카드는 다음과 같다.<div class="mw-collapsible-content"><br>
+
댄스트에서 보유중이라면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서포트SSR 카드는 다음과 같다.<div class="mw-collapsible-content"><br>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うち来る~!?】和泉愛依]]<br><br>
+
[[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今日の手は空を切らない】芹沢あさひ]]<br>이 카드의 4회 특훈이 되어있지 않다면 댄스트는 시도하지 않는 편이 이롭다.<br><br>
[[파일:Icon_Yuika_S_SSR_04.png| 60px]][[【プレゼントなら両手いっぱい】三峰結華]]<br>{{vi}} 100% UP버프와 {{vi}}레슨시 Sp를 획득할 수 있는 카드이다. 버프를 습득하기 위해 최소 2특훈이 필수적이다<br><br>
+
[[파일:Icon_Asahi_S_SSR_02.png| 60px]][[【あめ、ゆき、はれ】芹沢あさひ]]<br>위 카드의 대체재로 사용이 가능하나, 권장되지 않는다.<br><br>
[[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スパイシーベリィデコレイト】黛冬優子]]<br>{{vi}} UP 버프와 {{vi}}마스터리-{{vi}}, Sp모두 보유한 전형적인 {{vi}}서포터이다.<br>4특훈이 되어있다면 위의 메이의 4특훈 어필의 대체재로 사용할 수 있다.<br><br>
+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うち来る~!?】和泉愛依]]<br>G.R.A.D. 에서 인연을 확보하기 위해서 보통 사용된다.<br><br>
 
[[파일:Icon_Fuyuko_S_SSR_02.png| 60px]][[【ノー墨・勝者フェイス】黛冬優子]]<br>유닛 마스터리-Sp 를 보유하여 부족한 Sp를 수급하기 좋은 카드이다. 유닛 마스터리 - Sp 레벨을 최대치까지 올릴 수 있는 2특훈 이상이 권장된다.<br><br>
 
[[파일:Icon_Fuyuko_S_SSR_02.png| 60px]][[【ノー墨・勝者フェイス】黛冬優子]]<br>유닛 마스터리-Sp 를 보유하여 부족한 Sp를 수급하기 좋은 카드이다. 유닛 마스터리 - Sp 레벨을 최대치까지 올릴 수 있는 2특훈 이상이 권장된다.<br><br>
[[파일:Icon_Fuyuko_S_SSR_03.png| 60px]][[【@ストーリィズ】黛冬優子]]<br>위의 두 카드가 모두 없다면 사용하게 되는 후유코의 이벤트SSSR이다.<Br><br>
+
 
[[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闇鍋上等】田中摩美々]]<br>{{vi}}레슨시 체력 회복 및 Sp를 획득할 수 있는 카드이다. 2~3특훈이 권장된다.<br><br>
+
[[파일:Icon_Natsuha_S_SSR_05.png| 60px]][[【Sr×Ba×Cu=】有栖川夏葉]]<br>탁월한 버프와 마스터리도 준수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2특훈 이상이 권장된다.<br><br>
[[파일:Icon_Chiyoko_S_SSR_01.png| 60px]][[【放課後★肝試しパニック】園田智代子]]<br>2턴 이전 {{vi}} 50% UP버프가 있다. 해당 버프를 위해 2특훈이 필수적이다.<br><br>
+
[[파일:Icon_Mamimi_S_SSR_03.png| 60px]][[【夜夜中ワンダーラスト】田中摩美々]]<br>댄스덱을 구성한다면 빼놓을 수 없는 카드이다. {{da}}100% UP을 보유하여 2특훈 이상이 필수이다.<br><br>
 +
[[파일:Icon_Mamimi_S_SSR_04.png| 60px]][[【きまぐれのめぐみ】田中摩美々]]<br>위 카드의 상위 호환이라고 볼 수 있는 한정카드이다. {{da}}100% UP을 보유하고 있고, {{da}}마스터리 - Sp또한 유효하다. 2특훈 이상이 권장된다.<br><br>
 +
[[파일:Icon_Yuika_S_SSR_03.png| 60px]][[【賑やか四畳半】三峰結華]]<br>패시브 스킬로 추억 어필 게이지 UP이 있고, 토크 마스터리 - 체력, Sp 등이 있어 환영받는 카드이다. 버프를 발동시키기 위해 멜랑꼴리 발동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것은 단점.<br><br>
 +
[[파일:Icon_Juri_S_SSR_02.png| 60px]][[【スリープオーバーベイビー】西城樹里]]<br>강력한 {{Da}} UP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는 카드이다. 버프를 습득하기 위해 최소 2특훈 이상이 필수이다.<br><br>
 +
[[파일:Icon_Mano_S_SSR_06.png| 60px]] [[【駅線上の日常】櫻木真乃]]<br>[[파일:Icon_Meguru_S_SSR_03.png| 60px]] [[【星掬い藍仰ぐ】風野灯織]]<br>[[파일:Icon_Hiori_S_SSR_04.png| 60px]] [[【花笑み咲匂う】八宮めぐる]]<br>일루미와 함께 덱을 구성하는 경우 빠지지 않는 서포트 카드이다.
 +
 
 
</div></div>
 
</div></div>
 +
이외에도 본인의 카드풀에 따라서 통상 / 한정 카드를 사용하면 된다. G.R.A.D.에서는 아이돌과의 인연 어빌리티를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페스에서 쓰게 될 프로듀스 아이돌과 서포트 아이돌을 일치하게 사용하는 편이 좋다.
 +
<br><br>
   −
== 댄스 스트레이라이트 ==
+
==보컬 스트레이라이트==
[[파일:Icon_Fuyuko_P_SSR_02.png| 60px]][[【アンシーン・ダブルキャスト】黛冬優子]]의 강력한 {{Da}} 3.5배와 5배 및 추억게이지 UP 어필, 그리고 조건부 {{Da}} 6배 추억 어필이 주축이 되는 덱이다. 강력한 고배율 어필과 버프 및 상한을 위해서 해당 카드의 4회 특훈이 권장된다.
+
[[파일:Icon_Mei_P_SSR_03.png| 60px]][[【シャッターチャンス!?】和泉愛依]]의 추억어필인 전관객 {{Vo}} 6배 어필을 활용하는 보컬 스트레이라이트이다. 센터로 사용되는 앞의 카드와 함께, 아래 서술할 4차 사쿠야 또한 한정카드이기 때문에, 2차 아사히 하나만 믿고도 어느정도 굴러가는 비스트에 비하면 덱 구성에 난이도가 있는 편이다.
 +
 
 +
보스트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 [[파일:Icon_Sakuya_P_SSR_04.png| 60px]][[【海と太陽のプロメッサ】白瀬咲耶]] 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이 카드의 최상위급 성능의 흥미도 감소 어필 때문이다. 물론 앞의 4차 사쿠야가 없더라도 3인 유닛의 6배 추억어필이 충분히 강한 것은 사실이다.
   −
댄스트에서는 [[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今日の手は空を切らない】芹沢あさひ]]의 4회 특훈이 필수적인데, 이는 이 카드에 존재하는 {{Da}} UP 버프와, 4회 특훈시 습득할 수 있는 어필인 {{Da}} 3배 어필 및 {{Da}}{{Vi}} 5%, 10% UP 때문이다. 이 카드의 4회 특훈 어필을 대체할 수 있는 카드가 [[파일:Icon_Asahi_S_SSR_02.png| 60px]]의 4회 특훈을 제외하면 사실상 없기 때문에, 이 카드가 없다면 섣부르게 시도하지 않는 편이 좋다.
+
하지만 현재 보스트에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하는데, {{Vo}} 어필을 뒷받쳐줄 스트레이라이트의 카드가 마땅치 않다는 것이다. 이때문에 보스트는 그레이드 페스에서 그리 많이 쓰이는 편성이 아니며, 앞으로 스트레이라이트에서 어떤 PSSR이 출시되냐에 따라 덱의 운명이 갈릴 것으로 보인다.
    
=== 사용되는 PSSR 카드 ===
 
=== 사용되는 PSSR 카드 ===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타 유닛을 채용하는 경우, 유닛별로 나누어서 소개한다.
+
 
 +
[[파일:Icon_Sakuya_P_SSR_04.png| 60px]][[【海と太陽のプロメッサ】白瀬咲耶]]와 다른 안티카 멤버와 함께 유닛을 구성하거나,
 +
 
 +
[[파일:Icon_Toru_P_SSR_02.png| 60px]][[【途方もない午後】浅倉透]]를 사용하여, 녹칠과 함께 강력한 보컬 덱을 구성한다.
 +
<br><br>다음은 유닛별로 쓰이는 카드들의 예시이다.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div></div>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일루미네이션 스타즈====
+
====안티카====
<br>
+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br>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
[[파일:Icon_Sakuya_P_SSR_04.png| 60px]][[【海と太陽のプロメッサ】白瀬咲耶]]
<br>
+
[[파일:Icon_Kiriko_P_SSR_04.png| 60px]][[【鱗・鱗・謹・賀】幽谷霧子]]
 +
 
 +
위의 두 카드는 센터로 사용되는 메이와 함께 핵심적인 파츠라고 할 수 있다.<br>
 +
두 카드 중에서는 [[파일:Icon_Sakuya_P_SSR_04.png| 60px]][[【海と太陽のプロメッサ】白瀬咲耶]]가 좀 더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
 
 +
아이러니한점은 위의 두카드를 전부 보유중이라면, 굳이 보티카에서 위의 두 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보티카를 사용하는 편이 훨씬 강한 덱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
 +
<br><br>
 
</div></div>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div></div>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안티카====
+
====스트레이라이트====
<br>
+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br>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
현재 보스트는 스트레이라이트에서부터 유닛을 편성하는데에 난관이 존재하므로, 스트레이라이트에 {{Vo}} 어필을 가진 카드가 더 나오기 전까지는 보스트를 보류하는 것이 현명하다.<br><br>
<br>
+
아사히의 경우,<br>
 +
[[파일:Icon_Asahi_P_SSR_01.png| 60px]][[【ジャンプ!スタッグ!!!】芹沢あさひ]]
 +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空と青とアイツ】芹沢あさひ]]
 +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데, [[파일:Icon_Asahi_P_SSR_01.png| 60px]]의 경우 특훈 4회가 되어있지 않다면 보컬 어필을 쓸 수 없으므로, 차라리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空と青とアイツ】芹沢あさひ]]를 사용하여 자체 패시브 버프에 있는 추억어필 UP을 활용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br><br>
 +
후유코의 경우,<br>
 +
[[파일:Icon_Fuyuko_P_SSR_01.png| 60px]][[【【オ♡フ♡レ♡コ】黛冬優子]]는 보컬 어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
[[파일:Icon_Fuyuko_P_SSR_02.png| 60px]][[【アンシーン・ダブルキャスト】黛冬優子]]를 활용해서 어필스킬에 함께 있는 추억어필 UP을 활용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다.
 +
 
 +
 
 +
 
 +
<br><br>
 +
<br><br>
 
</div></div>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
 
</div></div>
+
== 기본적인 운용법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
<br>비스트와 댄스트 모두 강력한 추억 어필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액티브 버프가 부여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기본적으로 1~3턴 사이에 링크어필의 준비와 액티브 버프를 부여하는 등의 선택이 필요하다. <br><br>또한 1턴에 액티브 버프를 부여하지 않는다면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 [[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의 패시브 버프의 발동이 불가능하므로, 초반 화력의 저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파일:Icon_Chiyoko_S_SSR_01.png| 60px]], [[파일:Icon_Natsuha_S_SSR_05.png| 60px]]와 같이 사실상 조건 없이 패시브 스킬을 발동할 수 있는 서포트 아이돌을 통해 초반의 부실할 수 있는 화력을 보충해주는 것이 유리하다.<br><br>비스트와 댄스트의 추억어필은 단일 속성으로, 추억어필의 링크어필 추가타가 동일 속성에는 2배로 들어가지만, 타 속성에는 1배로 적용되므로, 추억어필 전 심사위원의 체력 관리가 중요하다.<br>예를들어 비스트의 경우 비쥬얼 심사위원에 대한 어필은 아사히의 전관객 어필과 오모이데 어필로 충분하므로, 다른 아이돌로 어필을 하는 경우 보컬이나 댄스 중 체력이 많이 남아있는 심사위원에게 어필하는 것이 좋다.<br>댄스트의 경우 비쥬얼은 아사히의 전관객 어필로 커버하고, 보컬에 어필을 하여 보컬과 비쥬얼 심사위원 체력을 줄이고, 댄스 심사위원 체력은 건들이지 않는 쪽으로 운용하는 편이 좋다. 다만 이때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를 사용하는 경우, 아사히의 링크어필이 발동되어 부여된 액티브 버프가 사라져 추억 어필의 최대 배율에 필요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br><br>댄스트는 [[파일:Icon_Fuyuko_P_SSR_02.png| 60px]]의 어필에 추억 어필 게이지 UP이 있다는 점을 활용해서, 아이돌의 텐션이 낮은 경우에도 빠르면 4턴에 추억 어필을 발동시킬 수 있으므로, 텐션이 낮은 경우 댄스트로 페스 유닛을 바꾸어서 그레이드 페스를 공략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다.
====방과후 클라이맥스 걸즈====
+
 
 +
== G.R.A.D 유닛 편성 ==
 +
 
 +
===개요===
 +
 
 +
G.R.A.D에서는 '아이돌과의 인연' 어빌리티를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습득에 있어서 최우선 순위는 아니지만, 습득해야하는 모든 것을 습득할 때까지 G.R.A.D를 무한 반복해야 하므로 사실상 습득의 우선순위는 별로 의미없다.<br>
 +
그6 이나 그7을 노린다면 아이돌과의 인연 어빌리티를 3~4개 습득하여, 고정적으로 어필치 +15~20%를 획득하는 것이 좋다. <br> 각 속성별, {{Vo}}, {{Da}}, {{Vi}}, {{Me}} 히라메키를 모두 확보하면서 아이돌과의 인연을 확보해야한다는 것을 잊지 말자.<br><br>
 +
 
 +
=== G.R.A.D 유닛 편성법 ===
 +
 
 +
4인이나 5인 유닛이라면, 서포트 아이돌로 해당 유닛의 아이돌로 채워넣으면 그만이지만, 스트레이라이트와 같이 3인 유닛인 경우, 남은 두 프로듀스 아이돌과 세자리의 서포트 아이돌 자리를 어떻게 활용해야할 지 생각해봐야한다.<br> 따라서 이 부분에서는, 어떻게 이 과정이 진행되는지에 설명하고자 한다. 당연히 이 과정에서 쓰이는 카드들과 동일한 카드들을 가지고 있지는 않을 것이므로, 과정을 이해하고 따라해보자.<br><br><br>
 +
 
 +
 
 +
'''1. 스트레이라이트에서 쓸 프로듀스 카드 정하기'''<br><br>
 +
 
 +
2차 아사히를 이용한 비스트를 그레이드페스에서 활용한다면, 당연히 스트레이라이트에서 쓸 프로듀스 카드 또한 비쥬얼에 힘을 실어주어야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의 세 카드를 고를 것이다.<br>
 +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 4특훈 (4특훈의 어필을 사용하기 위함)<br>
 +
[[파일:Icon_Mei_P_SSR_01.png| 60px]] 4특훈 (4특훈의 어필을 사용하기 위함)<br>
 +
[[파일:Icon_Fuyuko_P_SSR_01.png| 60px]] 3특훈 (3특훈의 상한 해방을 위함)<br><br>
 +
 
 +
'''2. 스트레이라이트에서 쓸 서포트 카드 정하기'''<br><br>
 +
 
 +
[[파일:Icon_Asahi_S_SSR_02.png| 60px]] 혹은 [[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br>
 +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 4특훈<br>
 +
[[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 4특훈 혹은 [[파일:Icon_Fuyuko_S_SSR_02.png| 60px]] 2특훈 이상<br>
 +
 
 +
아사히의 경우, 현재까지 비쥬얼 특화의 서포트 카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아무 카드나 사용해도 좋을 것이다.
 +
메이와 후유코의 경우 비쥬얼 특화 서포트 카드가 있으므로, 해당 카드를 사용한다.<br>후유코의 경우 한정 서포트 카드에 유닛 마스터리-SP가 존재하여, G.R.A.D에서 부족한 SP를 수급하기 좋으므로, 있는경우, 사용한다.<br><br>
 +
 
 +
'''3. 사용할 타 유닛 프로듀스 아이돌 고르기'''<br><br>
 +
 
 +
여기서 주의해야할 점은,<br>
 +
아사히의 히라메키는 {{Da}}<br>
 +
메이의 히라메키는 {{Me}}<br>
 +
후유코의 히라메키는 {{Vo}}<br>
 +
이라는 것이다.<br><br>
 +
 
 +
만약 사용할 타 유닛의 프로듀스 아이돌의 히라메키 속성이 이와 겹친다면, 필연적으로 하나의 카드에서는 아이돌과의 인연 어빌리티를 4개 습득하지 못하고 3개만 습득할 수 있게 된다.<br>
 +
하지만, 슬프게도 방클걸의 경우, 비쥬얼 히라메키를 가진 아이돌이 없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인연 어빌리티를 일부 포기하게된다.<br><br>
 +
 
 +
예시에서 사용할 방클걸의 프로듀스 카드는<br>
 +
[[파일:Icon_Natsuha_P_SSR_03.png| 60px]] 4특훈<br>
 +
[[파일:Icon_Juri_P_SSR_04.png| 60px]] 4특훈이다.<br><br>
 +
여기서 4특훈이라고 표기한 것은 나츠하의 {{Vi}} 전체공격과 쥬리의 {{Vi}} 어필 및 버프를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는 단순히 '4특훈이면 좋다'이지, '4특훈이 필수다'는 아니다.<br><br>
 +
만약<br><br>
 +
[[파일:Icon_Rinze_P_SSR_05.png| 60px]] 을 활용하고 싶다면, 여기서는 반드시 쥬리 대신 사용해야한다. 쥬리와 린제의 히라메키가 둘 다 {{da}}로 같기 때문이다.<br><br>
 +
 
 +
'''4. 서포트 카드 선택'''<br><br>
 +
 
 +
이제, 아이돌과의 인연을 위해서 용병으로 사용하는 아이돌의 서포트 카드를 골라주면 된다.<br>
 +
나츠하와 쥬리를 선택했으므로, 여기서 사용할 서포트 카드는 <br><br>
 +
[[파일:Icon_Natsuha_S_SSR_03.png| 60px]] 와 [[파일:Icon_Juri_S_SSR_04.png| 60px]] 이다.<br><br>
 +
이제 한자리씩이 남게 되는데, {{Vi}} 히라메키가 필요하므로, 히오리, 마미미, 사쿠야, 아마나, 텐카, 토오루 중 한 명에서 서포트 아이돌을 골라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br><br>
 +
[[파일:Icon_Sakuya_S_SSR_05.png| 60px]] 를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2회 특훈 액티브스킬의 발동 조건이 주목도 DOWN이므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Vi}}덱에서 빠질 수 없는 통상 서포터인<br><br>[[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 을 사용하겠다.<br><br>
 +
지금까지 과정으로 만들어진 유닛편성은 아래와 같다.<br>
 +
<br><br>
 +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Natsuha_S_SSR_03.png| 60px]][[파일:Icon_Juri_S_SSR_04.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
 
<br>
 
<br>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
[[파일:Icon_Mei_P_SSR_01.png| 60px]]    [[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2.png| 60px]][[파일:Icon_Natsuha_S_SSR_03.png| 60px]][[파일:Icon_Juri_S_SSR_04.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
 
<br>
 
<br>
</div></div>
+
[[파일:Icon_Fuyuko_P_SSR_01.png| 60px]]    [[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Natsuha_S_SSR_03.png| 60px]][[파일:Icon_Juri_S_SSR_04.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
</div></div>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
====알스트로메리아====
   
<br>
 
<br>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
[[파일:Icon_Natsuha_P_SSR_03.png| 60px]]    [[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Juri_S_SSR_04.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
 
<br>
 
<br>
</div></div>
+
[[파일:Icon_Juri_P_SSR_04.png| 60px]]    [[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2.png| 60px]][[파일:Icon_Natsuha_S_SSR_03.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
 
</div></div>
+
<br><br>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
이렇게 덱을 편성하면,<br><br>
====스트레이라이트====
+
[[파일:Icon_Fuyuko_P_SSR_01.png| 60px]]    [[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Natsuha_S_SSR_03.png| 60px]][[파일:Icon_Juri_S_SSR_04.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br><Br>
 +
에서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히라메키는 {{Me}} {{Da}} {{Me}} {{Da}} {{Vi}}로, {{Vo}} 히라메키가 없는 것이다.
 +
 
 +
따라서 여기에서는 '아이돌과의 인연' 어빌리티를 하나 포기해야한다.<br><br>
 +
[[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의 경우 메이와의 시너지를 노려볼 수 있고,<br><br>
 +
[[파일:Icon_Juri_S_SSR_04.png| 60px]]에는 '체력 서포트'가 존재하므로,<br><br>
 +
[[파일:Icon_Natsuha_S_SSR_03.png| 60px]] 를 포기하는 것이 최선일 것이다.<br><br>
 +
그러면 이제, {{Vo}} 히라메키를 위해 넣을 서포트 카드를 골라야하는데, {{Vo}} 히라메키를 가진 아이돌은 마노, 키리코, 카호, 치유키, 후유코, 마도카 이므로 이중에서 고르자.
 +
<br><br>
 +
[[파일:Icon_Mano_S_SSR_06.png| 60px]] 혹은 [[파일:Icon_Kiriko_S_SSR_03.png| 60px]]이면 적당할 것이다.<br><BR>그런데, 이렇게 무언가 넣어야하지만 마땅히 넣을 카드가 없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예시로 든 두 카드는 모두 한정카드이고, 또 쓸만한 통상카드조차 없는 경우이다.<br><Br>
 +
이런 경우,<br>
 +
'''G.R.A.D 에서 찍을 수 있는 스킬은 한정되어있으므로'''<br>
 +
'''서포트로 사용할 카드의 패시브 스킬이나 상한 등은 고려하지 않고, 서포트 스킬만 고려해주자.'''<BR>예를 들어,<BR><BR>
 +
[[파일:Icon_Mano_S_SSR_02.png| 60px]]의 체력 서포트 3레벨을 이용하거나<BR>
 +
[[파일:Icon_Kiriko_S_SSR_04.png| 60px]]의 체력 서포트 7레벨을 이용하는 방식이다.<BR>
 +
<BR><BR>
 +
[[파일:Icon_Juri_P_SSR_04.png| 60px]]    [[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2.png| 60px]][[파일:Icon_Kiriko_S_SSR_03.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
 +
<BR>
 +
[[파일:Icon_Mei_P_SSR_01.png| 60px]]    [[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Natsuha_S_SSR_03.png| 60px]][[파일:Icon_Juri_S_SSR_04.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
 
<br>
 
<br>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2.png| 60px]][[파일:Icon_Natsuha_S_SSR_03.png| 60px]][[파일:Icon_Juri_S_SSR_04.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
 
<br>
 
<br>
</div></div>
+
[[파일:Icon_Fuyuko_P_SSR_01.png| 60px]]    [[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Natsuha_S_SSR_03.png| 60px]][[파일:Icon_Juri_S_SSR_04.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
</div></div>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
====녹칠====
  −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br>
 
<br>
녹칠의 경우 아직 많은 카드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댄스트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
[[파일:Icon_Natsuha_P_SSR_03.png| 60px]]     [[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Juri_S_SSR_04.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
</div></div>
+
<br><br>
</div></div>
  −
 
  −
===사용되는 SSSR 카드===
  −
<br>
  −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
</div></div>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
댄스트에서 보유중이라면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서포트SSR 카드는 다음과 같다.<div class="mw-collapsible-content"><br>
  −
[[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今日の手は空を切らない】芹沢あさひ]]<br>이 카드의 4회 특훈이 되어있지 않다면 댄스트는 시도하지 않는 편이 이롭다.<br><br>
  −
[[파일:Icon_Asahi_S_SSR_02.png| 60px]][[【あめ、ゆき、はれ】芹沢あさひ]]<br>위 카드의 대체재로 사용이 가능하나, 권장되지 않는다.<br><br>
  −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うち来る~!?】和泉愛依]]<br>G.R.A.D. 에서 인연을 확보하기 위해서 보통 사용된다.<br><br>
  −
[[파일:Icon_Fuyuko_S_SSR_02.png| 60px]][[【ノー墨・勝者フェイス】黛冬優子]]<br>유닛 마스터리-Sp 를 보유하여 부족한 Sp를 수급하기 좋은 카드이다. 유닛 마스터리 - Sp 레벨을 최대치까지 올릴 수 있는 2특훈 이상이 권장된다.<br><br>
     −
[[파일:Icon_Natsuha_S_SSR_05.png| 60px]][[【Sr×Ba×Cu=】有栖川夏葉]]<br>탁월한 버프와 마스터리도 준수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2특훈 이상이 권장된다.<br><br>
+
이렇게, 아이돌 인연 44443을 확보할 있는 방클걸 + 비스트 유닛이 완성되었다.<BR>
[[파일:Icon_Mamimi_S_SSR_03.png| 60px]][[【夜夜中ワンダーラスト】田中摩美々]]<br>댄스덱을 구성한다면 빼놓을 없는 카드이다. {{da}}100% UP을 보유하여 2특훈 이상이 필수이다.<br><br>
+
이 글을 통해서 어떤 방법으로 그레이드 페스에서 사용할 유닛을 G.R.A.D 에서 편성하는지 이해가 되었다면, 이제 본인의 카드풀에 맞게 유닛을 편성해보자.
[[파일:Icon_Mamimi_S_SSR_04.png| 60px]][[【きまぐれのめぐみ】田中摩美々]]<br>위 카드의 상위 호환이라고 볼 수 있는 한정카드이다. {{da}}100% UP을 보유하고 있고, {{da}}마스터리 - Sp또한 유효하다. 2특훈 이상이 권장된다.<br><br>
  −
[[파일:Icon_Yuika_S_SSR_03.png| 60px]][[【賑やか四畳半】三峰結華]]<br>패시브 스킬로 추억 어필 게이지 UP이 있고, 토크 마스터리 - 체력, Sp 등이 있어 환영받는 카드이다. 버프를 발동시키기 위해 멜랑꼴리 발동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것은 단점.<br><br>
  −
[[파일:Icon_Juri_S_SSR_02.png| 60px]][[【スリープオーバーベイビー】西城樹里]]<br>강력한 {Da}} UP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는 카드이다. 버프를 습득하기 위해 최소 2특훈 이상이 필수이다.
      +
=== 추가 예시 ===
   −
<br><br>
+
PSSR의 순서는 리더 / 보컬 / 센터 / 댄스 / 비쥬얼 이다.<br><br>
</div></div>
+
다음은 44444 인연을 확보한 일루미/댄스트 덱의 구성 예이다.<br>
 +
07/21 ~ 08/10 진행된 그레이드 페스에서 Lv 7로 승격<br><br>
 +
[[파일:Icon_Meguru_P_SSR_05.png| 60px]]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2.png| 60px]][[파일:Icon_Hiori_S_SSR_03.png| 60px]][[파일:Icon_Natsuha_S_SSR_05.png| 60px]]<br>
 +
[[파일:Icon_Hiori_P_SSR_04.png| 60px]]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2.png| 60px]][[파일:Icon_Meguru_S_SSR_01.png| 60px]][[파일:Icon_Sakuya_S_SSR_02.png| 60px]]<br>
 +
[[파일:Icon_Fuyuko_P_SSR_02.png| 60px]]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Hiori_S_SSR_03.png| 60px]][[파일:Icon_Meguru_S_SSR_01.png| 60px]][[파일:Icon_Kiriko_S_SSR_04.png| 60px]]<br>
 +
[[파일:Icon_Mei_P_SSR_02.png| 60px]]    [[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2.png| 60px]][[파일:Icon_Hiori_S_SSR_03.png| 60px]][[파일:Icon_Meguru_S_SSR_01.png| 60px]][[파일:Icon_Natsuha_S_SSR_05.png| 60px]]<br>
 +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2.png| 60px]][[파일:Icon_Hiori_S_SSR_03.png| 60px]][[파일:Icon_Meguru_S_SSR_01.png| 60px]][[파일:Icon_Amana_S_SSR_05.png| 60px]]<br><br>일루미를 활용한 댄스트를 구성하면서 위의 덱보다 더 좋은 성능을 발휘하고 싶다면,<br><br>
 +
[[파일:Icon_Mano_S_SSR_06.png| 60px]][[파일:Icon_Meguru_S_SSR_03.png| 60px]][[파일:Icon_Hiori_S_SSR_04.png| 60px]]<br><br>
 +
통상 일루미 서포터 대신, 일루미의 한정 서포터을 사용하도록 하자.
 +
<br><br>다음은 44344 인연을 확보한 방클걸/댄스트 덱의 구성 예이다.<br>
 +
08/31 ~ 09/11 진행된 그레이드 페스에서 Lv 7로 승격<br><br>
 +
[[파일:Icon_Rinze_P_SSR_04.png| 60px]]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2.png| 60px]][[파일:Icon_Hiori_S_SSR_03.png| 60px]][[파일:Icon_Natsuha_S_SSR_05.png| 60px]]<br>
 +
[[파일:Icon_Natsuha_P_SSR_05.png| 60px]]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2.png| 60px]][[파일:Icon_Hiori_S_SSR_03.png| 60px]][[파일:Icon_Rinze_S_SSR_04.png| 60px]]<br>
 +
[[파일:Icon_Fuyuko_P_SSR_02.png| 60px]]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Natsuha_S_SSR_05.png| 60px]][[파일:Icon_Hiori_S_SSR_03.png| 60px]][[파일:Icon_Kiriko_S_SSR_04.png| 60px]]<br>
 +
[[파일:Icon_Mei_P_SSR_02.png| 60px]]    [[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2.png| 60px]][[파일:Icon_Natsuha_S_SSR_05.png| 60px]][[파일:Icon_Hiori_S_SSR_03.png| 60px]][[파일:Icon_Rinze_S_SSR_04.png| 60px]]<br>
 +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2.png| 60px]][[파일:Icon_Natsuha_S_SSR_03.png| 60px]][[파일:Icon_Sakuya_S_SSR_02.png| 60px]][[파일:Icon_Rinze_S_SSR_04.png| 60px]]
 +
<br><br>다음은 44443 인연을 확보한 안티카/비스트 덱의 구성 예이다.<br>
 +
9/11 ~ 9/23 진행된 그레이드 페스에서 Lv 7로 승격<br><br>
 +
[[파일:Icon_Kogane_P_SR_02.png| 60px]]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2.png| 60px]][[파일:Icon_Sakuya_S_SSR_02.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br>
 +
[[파일:Icon_Sakuya_P_SSR_04.png| 60px]]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파일:Icon_Kogane_S_SSR_05.png| 60px]]<br>
 +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Sakuya_S_SSR_01.png| 60px]][[파일:Icon_Yuika_S_SSR_02.png| 60px]][[파일:Icon_Kogane_S_SSR_05.png| 60px]]<br>
 +
[[파일:Icon_Mei_P_SR_03.png| 60px]]    [[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Sakuya_S_SSR_01.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파일:Icon_Kogane_S_SSR_05.png| 60px]]<br>
 +
[[파일:Icon_Fuyuko_P_SSR_01.png| 60px]]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3.png| 60px]][[파일:Icon_Sakuya_S_SSR_01.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파일:Icon_Mano_S_SSR_06.png| 60px]]
 +
<br><br>또한 인연을 1~2개 포기하는 대신 SP수급을 원활하게 하여 육성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br>
 +
다음은 32322 인연을 확보한 방클걸+안티카/비스트 덱의 구성 예이다.<br>
 +
10/31 ~ 11/10 진행된 그레이드 페스에서 Lv 7로 승격<br><br>
 +
[[파일:Icon_Yuika_P_SSR_01.png| 60px]]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Sakuya_S_SSR_01.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파일:Icon_Asahi_S_SSR_02.png| 60px]]<br>
 +
[[파일:Icon_Mei_P_SR_03.png| 60px]]    [[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Sakuya_S_SSR_01.png| 60px]][[파일:Icon_Yuika_S_SSR_04.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파일:Icon_Kogane_S_SSR_05.png| 60px]]<br>
 +
[[파일:Icon_Asahi_P_SSR_02.png| 60px]]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Sakuya_S_SSR_01.png| 60px]][[파일:Icon_Yuika_S_SSR_04.png| 60px]][[파일:Icon_Kogane_S_SSR_05.png| 60px]]<br>
 +
[[파일:Icon_Fuyuko_P_SSR_01.png| 60px]]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Sakuya_S_SSR_01.png| 60px]][[파일:Icon_Yuika_S_SSR_04.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파일:Icon_Kiriko_S_SR_02.png| 60px]]<br>
 +
[[파일:Icon_Rinze_P_SSR_05.png| 60px]]    [[파일:Icon_Mei_S_SSR_02.png| 60px]][[파일:Icon_Fuyuko_S_SSR_01.png| 60px]][[파일:Icon_Sakuya_S_SSR_01.png| 60px]][[파일:Icon_Yuika_S_SSR_04.png| 60px]][[파일:Icon_Mamimi_S_SSR_02.png| 60px]]

편집

148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