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드 페스/방과후 클라이맥스 걸즈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5번째 줄: 45번째 줄: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9_린제}}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9_린제}}
  
오모이데 어필로 {{Vo}} 100%[3턴], 6.5배 어필이라는 높은 수치를 가지고 있는 린제의 트와코레 카드로, '''현재 보컬 방과후 클라이맥스 걸즈 덱에서 가장 중요도가 높은 카드이다.''' 주로 라이브 스킬인 전관객 최대 {{Vo}} 6.5배 어필[스킬 이력 비례] + 전관객 {{Vo}} 1.5배 어필(Link)을 사용하기 위해 보컬 포지션에 채용되나, 오모이데 어필의 높은 버프 수치와 배율에 착안하여 센터 포지션으로 채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보컬 포지션은 전관객 어필을 가진 [[파일:Icon Juri P SSR 02.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Juri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aho P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를 주로 사용한다.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9_린제}}를 센터로 채용할 경우 보컬로 채용하는 덱에 비해 패말림 우려가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오모이데 게이지에 제약을 받는 것과 듀엣의 무작위성으로 인해 링크 어필을 사용하기 힘든 경우가 생긴다는 단점이 존재하므로 S.T.E.P. 프로듀스 모드를 통해 강력한 오모이데 5렙 센터를 만들 수 있거나, 린제가 ☆4가 아닌 경우를 제외하면 일반적으론 보컬 포지션에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
오모이데 어필로 {{Vo}} 100%[3턴], 6.5배 어필이라는 높은 수치를 가지고 있는 린제의 트와코레 카드로, '''현재 보컬 방과후 클라이맥스 덱에서 가장 중요도가 높은 카드이다.''' 주로 라이브 스킬인 전관객 최대 {{Vo}} 6.5배 어필[스킬 이력 비례] + 전관객 {{Vo}} 1.5배 어필(Link)을 사용하기 위해 보컬 포지션에 채용되나, 오모이데 어필의 높은 버프 수치와 배율에 착안하여 센터 포지션으로 채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보컬 포지션은 전관객 어필을 가진 [[파일:Icon Juri P SSR 02.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Juri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aho P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를 주로 사용한다.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9_린제}}를 센터로 채용할 경우 보컬로 채용하는 덱에 비해 패말림 우려가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오모이데 게이지에 제약을 받는 것과 듀엣의 무작위성으로 인해 링크 어필을 사용하기 힘든 경우가 생긴다는 단점이 존재하므로 S.T.E.P. 프로듀스 모드를 통해 강력한 오모이데 5렙 센터를 만들 수 있거나, 린제가 ☆4가 아닌 경우를 제외하면 일반적으론 보컬 포지션에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덱 채용 가능====
 
====덱 채용 가능====
  
 
=====센터=====
 
=====센터=====
[[파일:Icon Juri P SSR 02.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aho P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P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Natsuha P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aho P SSR 11.png|대체글=|60x60픽셀]] (한정) / [[파일:Icon Kaho P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Natsuha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P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 (통상)
+
[[파일:Icon Juri P SSR 02.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aho P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P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Natsuha P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 (한정) / [[파일:Icon Kaho P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Natsuha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통상)
  
오모이데에 {{Vo}} 어필이 붙어있는 카드들이며, 센터 포지션에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9_쥬리}}나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9_린제}}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채용 가능성이 생기는 카드들이다. 이 경우 사용률에서의 이점을 노리기 위해 주로 채용된다.
+
오모이데에 {{Vo}} 어필이 붙어있는 카드들이며, 센터 포지션에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9_쥬리}}나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9_린제}}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채용 가능성이 생기는 카드들이다. 이 경우 사용률에서의 이점을 노리기 위해 주로 채용된다.  
  
 
===== 그 외 포지션 =====
 
===== 그 외 포지션 =====
58번째 줄: 58번째 줄:
  
 
카호의 5차 카드이자 한정 카드이다. 전관객 {{Vo}} 4배 어필 및 지연 흥미 1.25배 증가라는 준수한 성능의 라이브 스킬과 {{Vo}} 75% UP, 추억 게이지 25% UP의 오모이데 게이지를 빠르게 채워주는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채용할만한 가치가 있다.
 
카호의 5차 카드이자 한정 카드이다. 전관객 {{Vo}} 4배 어필 및 지연 흥미 1.25배 증가라는 준수한 성능의 라이브 스킬과 {{Vo}} 75% UP, 추억 게이지 25% UP의 오모이데 게이지를 빠르게 채워주는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채용할만한 가치가 있다.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1_카호}}
 
 
카호의 10차 카드이자 한정 카드이다. 반드시 마지막에 {{Vo}} 5배 어필 및 흥미 2배 증가, 주목도 50%[3턴]의 [[파일:Icon_Juri_S_SSR_05.png|60px|링크=https://shinycolors.info/wiki/%ED%8C%8C%EC%9D%BC:Icon_Juri_S_SSR_05.png]]가 연상되는 라이브 스킬을 가지고 있다. 양치쥬리와 마찬가지로 변수창출에 강한 라이브 스킬이므로 채용할 가치가 있으며, 이력에 방클걸 5명 이상을 조건으로 하는 {{Vo}} 160% UP 패시브 스킬도 가치가 높은 편이다.
 
 
  
  
100번째 줄: 94번째 줄:
  
  
 +
간혹 사용률을 위해 다른 통상 P 카드나 사용되지 않는 예전 한정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간혹 사용률 보너스를 위해 다른 통상 P 카드나 사용되지 않는 예전 한정을 사용할 때도 있는데, 이 경우
+
[[파일:Icon Kaho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S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_Juri_S_SSR_05.png|60px|링크=https://shinycolors.info/wiki/%ED%8C%8C%EC%9D%BC:Icon_Juri_S_SSR_05.png]][[파일:Icon Mamimi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와 같은 서포트 카드의 ☆4 라이브 스킬을 채용한다.  
 
 
[[파일:Icon Kaho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S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_Juri_S_SSR_05.png|60px|링크=https://shinycolors.info/wiki/%ED%8C%8C%EC%9D%BC:Icon_Juri_S_SSR_05.png]][[파일:Icon Mamimi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와 같은 서포트 카드의 ☆4 라이브 스킬을 채용한다.  
 
  
 
===서포트 카드===
 
===서포트 카드===
121번째 줄: 114번째 줄:
  
 
얼터카호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카드이며 {{Vo}} 4배 어필, 주목도 30% UP[3턴], 듀엣[카호]의 라이브 스킬과 스킬 이력 3명 조건의 {{Vo}} 120%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주로 채용한다. 이 카드의 최대 장점은 유닛 마스터리 {{Vo}}상한 5Lv인데, 이는 굉장히 포텐이 높은 서포트 스킬이기에 상기에 기술한 보컬 안티카와 보컬 시즈보다 좋은 성능의 보컬 방클걸 축의 카드가 추가되어 파츠를 바꿀수록 더욱 가치가 높아지게 될 예정이다.
 
얼터카호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카드이며 {{Vo}} 4배 어필, 주목도 30% UP[3턴], 듀엣[카호]의 라이브 스킬과 스킬 이력 3명 조건의 {{Vo}} 120%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주로 채용한다. 이 카드의 최대 장점은 유닛 마스터리 {{Vo}}상한 5Lv인데, 이는 굉장히 포텐이 높은 서포트 스킬이기에 상기에 기술한 보컬 안티카와 보컬 시즈보다 좋은 성능의 보컬 방클걸 축의 카드가 추가되어 파츠를 바꿀수록 더욱 가치가 높아지게 될 예정이다.
 
 
[[파일:Icon Kaho S SSR 12.png|대체글=|60x60픽셀]]
 
 
PR카호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카드이며, {{Vo}} 3.5배 어필[Vo 강화], {{Vo}} 60% UP[4턴]의 라이브 스킬과 카호, 후유코, 메이 중 한 명 채용 조건의 {{Vo}} 100%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다. 보클보다는 보스트에 어울리는 카드이며, 상기 얼터카호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채용 가능성이 낮다.
 
  
  
134번째 줄: 122번째 줄:
 
만약 [[파일:Icon Nichika S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Mikoto S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의 보컬 시즈 축 카드가 없고, [[파일:Icon Kaho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를 가지고 있다면 채용 가능성이 올라간다.
 
만약 [[파일:Icon Nichika S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Mikoto S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의 보컬 시즈 축 카드가 없고, [[파일:Icon Kaho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를 가지고 있다면 채용 가능성이 올라간다.
  
 +
[[파일:Icon_Juri_S_SSR_05.png|60px|링크=https://shinycolors.info/wiki/%ED%8C%8C%EC%9D%BC:Icon_Juri_S_SSR_05.png]]
  
[[파일:Icon Juri S SSR 11.png|대체글=|60x60픽셀]]
+
양치쥬리, 양쥬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Vo}} 75%, 주목도 100%의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자주 채용된다. 다른 보컬 방클걸 축의 카드와 차별화되는 점이 있다면 흥미 2배 증가 라이브 스킬인데, 이는 [[파일:Icon Kaho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S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와 같은 듀엣 라이브 스킬 출시 이후 예전만큼의 가치는 가지고 있지 않지만 아직도 변수 창출 능력은 굉장히 뛰어난 편으로 평가받는다.
  
트와쥬리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카드이며, {{Vo}} 200%, 주목도 100%의 강한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많이 채용된다. 트와 카드인 만큼 시설 마스터리 5Lv, 유닛 마스터리 {{Vo}}상한 4Lv의 강한 서포트 스킬을 지니고 있어 육성에서 중요한 카드로 평가된다. 상기 [[파일:Icon Kaho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의 유닛 마스터리 {{Vo}}상한 5Lv와 시너지 효과가 좋다.
+
이전에는 소위 바위라는 명칭의 잠긴 상한을 가지고 있는 [[파일:Icon Rinze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S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aho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가 주로 채용되었는데, 이 때 전속성 50 상한 해방을 용이하게 해주는 서포트 스킬인 이벤트 부스트도 쏠쏠하게 사용되었다.
  
  
  
[[파일:Icon_Juri_S_SSR_05.png|60px|링크=https://shinycolors.info/wiki/%ED%8C%8C%EC%9D%BC:Icon_Juri_S_SSR_05.png]]
 
  
양치쥬리, 양쥬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Vo}} 75%, 주목도 100%의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다. 흥미 2배 증가 라이브 스킬의 변수 창출 능력은 굉장히 높으나, [[파일:Icon Kaho P SSR 11.png|대체글=|60x60픽셀]]의 출시 이후로 라이브 스킬의 대체가 가능해져 [[파일:Icon Juri S SSR 11.png|대체글=|60x60픽셀]]를 채용하는 추세이다.
+
[[파일:Icon Rinz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이전에는 소위 바위라 불리는 잠긴 상한을 가지고 있는 [[파일:Icon Rinze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S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aho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가 주로 채용되었는데, 이 때 전속성 상한 해방을 용이하게 해주는 서포트 스킬인 이벤트 부스트도 쏠쏠하게 사용되었다.
+
규동린제, 규린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텐션 마스터리 SP+라는 육성 면에서 가치가 높은 서포트 스킬과 {{Vo}} 4배, 주목도 30%[3턴], 듀엣[린제]의 라이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여러모로 가치가 높은 카드이다. 기존에는 보클 육성 및 운용의 핵심인 카드였으나, 육성 메타가 G.R.A.D.에서 S.T.E.P.으로 변화함에 따라 텐션 마스터리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하락하였고 주목도 2개 조건이 필수가 아니게 되어 예전의 위상을 많이 잃게 되었다. 하지만 [[파일:Icon Kaho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 중심의 보컬 방클걸 축을 사용한다면 아직 가치가 꽤 높은 카드이기에 채용 가능성은 충분하다.
 +
 
  
 
[[파일:Icon Rinz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규동린제, 규린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텐션 마스터리 SP+라는 육성 면에서 가치가 높은 서포트 스킬과 {{Vo}} 4배, 주목도 30%[3턴], 듀엣[린제]의 라이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여러모로 가치가 높은 카드이다. 기존에는 보클 육성 및 운용의 핵심인 카드였으나, 육성 메타가 G.R.A.D.에서 S.T.E.P.으로 변화함에 따라 텐션 마스터리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하락하였고 주목도 2개 조건이 필수가 아니게 되어 예전의 위상을 많이 잃게 되었다. 하지만 [[파일:Icon Kaho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 중심의 보컬 방클걸 축을 사용한다면 아직 가치가 꽤 높은 카드이기에 채용 가능성은 충분하다.   
 
  
 
[[파일:Icon Natsuha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
 
[[파일:Icon Natsuha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
156번째 줄: 141번째 줄:
 
꽃츠하, 인력거 나츠하 등의 이름으로 불리며 주목도 UP이 2개 이상일시 {{Vo}} 100%와 멘탈 데미지 20% CUT의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다. 기존 주목도 2개 조건이 필수였던 보컬 방과후 클라이맥스 걸즈 덱에는 필수 카드였으나, 현재로선 비교적 애매한 카드에 위치해 있다.
 
꽃츠하, 인력거 나츠하 등의 이름으로 불리며 주목도 UP이 2개 이상일시 {{Vo}} 100%와 멘탈 데미지 20% CUT의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다. 기존 주목도 2개 조건이 필수였던 보컬 방과후 클라이맥스 걸즈 덱에는 필수 카드였으나, 현재로선 비교적 애매한 카드에 위치해 있다.
  
 
[[파일:Icon Meguru S SSR 13.png|대체글=|60x60픽셀]]
 
 
후술할 떡가네와 유사한 라이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떡구루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Vo}} 3.5배 어필, 흥미반전 라이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턴을 지연시키는 용도로 굉장히 좋으며, 시설 마스터리 7Lv의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파일:Icon Juri S SSR 11.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Natsuha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Nichika S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의 시설 마스터리 카드가 없을 경우 채용 가치가 올라간다. 다만 {{Vo}} 120% UP/{{Da}} & {{Vi}}  60% UP의 패시브 스킬을 사용하지 못하고, 패시브 스킬의 유닛 마스터리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파일:Icon Mano S SSR 15.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Hiori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의 보컬 일루미 축과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아 가지고 있는 서폿에 맞게 적절히 채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167번째 줄: 148번째 줄:
 
탁구린제, 밴드쵸코, 함장카호, 감기카호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구 한정들이며 위 한정들이 있다면 지금 시점에서는 잘 채용되지 않는다.
 
탁구린제, 밴드쵸코, 함장카호, 감기카호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구 한정들이며 위 한정들이 있다면 지금 시점에서는 잘 채용되지 않는다.
  
 +
=====통상 및 이벤트=====
 +
[[파일:Icon Natsuha S SSR 04.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S SSR 02.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aho S SR 01.png|대체글=|60x60픽셀]]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
[[파일:Icon Rinze S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S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
  
떡가네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흥미반전이라는 라이브 스킬의 가치가 굉장히 높아 타속성 포지션에 하나정도 기용할 수 있다.
+
통상 및 이벤트로 얻는 카드들은 당연하게도 한정 카드보다 성능이 좋지 않다. 따라서 많은 통상 중에서도 스킬과 상한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맞는 카드를 투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상====
 
 
[[파일:Icon Chiyoko S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파일:Icon Chiyoko S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동물원 쵸코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통상임에도 불구하고 {{Vo}} 3.5배 어필, 주목도 20%[3턴], 듀엣[방클걸]이라는 괜찮은 라이브 스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채용 가능성이 있다.      
+
동물원 쵸코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통상임에도 불구하고 {{Vo}} 3.5배 어필, 주목도 20%[3턴], 듀엣[방클걸]이라는 괜찮은 라이브 스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채용 가능성이 있다.  
  
 
[[파일:Icon Hiori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uki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
 
[[파일:Icon Hiori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uki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
  
시설 마스터리 6Lv을 가지고 있는 서포트 카드이며, S.T.E.P. 프로듀스 모드에 한정하여 상기 서술한 시설 마스터리 카드가 없을 때 채용한다.
+
시설 마스터리 6Lv을 가지고 있는 서포트 카드이며, S.T.E.P. 프로듀스 모드에 한정하여 상기 기술한 시설 마스터리 카드가 없을 때 채용한다.
  
 
===운용===
 
===운용===
[[파일:Icon Juri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를 센터로 하는 보클의 기본적인 운용 방식은 [[파일:Icon Juri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aho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S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등의 다양한 듀엣 스킬을 사용하여 빠르게 스킬 이력을 늘리고, 그 사이에 [[파일:Icon Rinze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P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aho P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Mamimi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와 같은 흥미 조절의 적절한 사용을 통해 [[파일:Icon Rinze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의 전관객 {{Vo}} 6.5배라는 강력한 라이브 스킬을 사용하는 것이다.
+
쥬리를 센터로 하는 보클의 기본적인 운용 방식은 [[파일:Icon Juri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aho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S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등의 다양한 듀엣 스킬을 사용하여 빠르게 스킬 이력을 늘리고, 그 사이에 [[파일:Icon Rinze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P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aho P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Mamimi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와 같은 흥미 조절의 적절한 사용을 통해 [[파일:Icon Rinze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의 전관객 {{Vo}} 6.5배라는 강력한 라이브 스킬을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파일:Icon Rinze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의 전관객 {{Vo}} 6.5배 라이브 스킬을 찾는 것이 최우선이며, 적절한 듀엣 사용을 통해 링크 스킬까지 사용하는것이 가장 좋은 플랜이다.
 
따라서 [[파일:Icon Rinze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의 전관객 {{Vo}} 6.5배 라이브 스킬을 찾는 것이 최우선이며, 적절한 듀엣 사용을 통해 링크 스킬까지 사용하는것이 가장 좋은 플랜이다.
189번째 줄: 171번째 줄:
 
예를 들어,
 
예를 들어,
  
1. [[파일:Icon Juri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듀엣 치요코 나츠하 이력) - [[파일:Icon Kaho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듀엣 카호 이력) - [[파일:Icon Rinze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 전관객 {{Vo}} 6.5배 + 1.5배 링크 어필
+
1. [[파일:Icon Juri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듀엣으로 치요코 나츠하 이력) - [[파일:Icon Kaho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듀엣으로 카호 이력) - [[파일:Icon Rinze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 전관객 {{Vo}} 6.5배 + 1.5배 링크 어필
  
2. [[파일:Icon Rinze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듀엣 카호 카호 이력) - [[파일:Icon Juri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듀엣 치요코 나츠하 이력) - [[파일:Icon Rinze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 전관객 {{Vo}} 6.5배 + 1.5배 링크 어필 등의 3턴 플랜이 가능하며
+
2. [[파일:Icon Rinze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듀엣으로 카호 카호 이력) - [[파일:Icon Juri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듀엣으로 치요코 나츠하 이력) - [[파일:Icon Rinze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 전관객 {{Vo}} 6.5배 + 1.5배 링크 어필 등의 3턴 플랜이 가능하며
  
3. [[파일:Icon Juri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듀엣 치요코 치요코 이력) - [[파일:Icon Kaho P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지연 흥미 1.25배) - [[파일:Icon Natsuha P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Vo}}&{{Da}}&{{Vi}} 80% 버프) - [[파일:Icon Rinze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 전관객 {{Vo}} 6.5배 + 1.5배 링크 어필 등의 변칙적인 운용도 가능하다.
+
3. [[파일:Icon Juri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듀엣으로 치요코 치요코 이력) - [[파일:Icon Kaho P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지연 흥미 1.25배) - [[파일:Icon Natsuha P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Vo}}&{{Da}}&{{Vi}} 80% 버프) - [[파일:Icon Rinze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 전관객 {{Vo}} 6.5배 + 1.5배 링크 어필 등의 변칙적인 운용도 가능하다.
  
 
==댄클==
 
==댄클==
213번째 줄: 195번째 줄: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0_쥬리}}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0_쥬리}}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Da}} 7배 어필이 가능한 쥬리의 9차 카드이자 한정 카드이다. 오모이데 플랜을 주로 사용하는 댄클이라면 필수 카드이며, 오모이데 어필 조건이 스킬 이력 조건이라 충족하기 쉬운 편이다. 라이브 스킬 또한 {{Da}} 5.5배 어필, 2회 듀엣이라 가치가 매우 높아 모든 포지션에 채용이 가능하다.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0_쥬리}}를 센터로 사용하는 덱의 최대 장점은 다름 아닌 [[파일:Icon Yuika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인데, 기존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카호}}나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나츠하}}을 센터로 사용하는 덱은 주목도 관리가 중요하여 [[파일:Icon Yuika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의 {{Da}} 120% UP, {{Da}} 180% UP이라는 높은 배율의 패시브 스킬을 활용하지 못하였지만,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0_쥬리}}를 센터로 사용하는 덱은 주목도 관리의 필요성이 낮아져 육성 뿐만 아니라 패시브 스킬도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Da}} 7배 어필이 가능한 쥬리의 9차 카드이자 한정 카드이다. 오모이데 플랜을 주로 사용하는 댄클이라면 필수 카드이며, 주목도 조건이 아닌 스킬 이력 조건이라 충족하기 쉬운 편이다.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0_쥬리}}를 센터로 사용하는 덱의 최대 장점은 다름 아닌 [[파일:Icon Yuika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인데, 기존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카호}}나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나츠하}}을 센터로 사용하는 덱은 주목도 관리가 중요하여 [[파일:Icon Yuika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의 {{Da}} 120% UP, {{Da}} 180% UP이라는 높은 배율의 패시브 스킬을 활용하지 못하였지만,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0_쥬리}}를 센터로 사용하는 덱은 주목도 관리의 필요성이 낮아져 육성 뿐만 아니라 패시브 스킬도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나츠하}}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나츠하}}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Da}} 6.5배 어필, 라이브 스킬로 전관객 최대 {{Da}} 6.5배[주목도 비례] + 전관객 {{Da}} 1.8배 어필(Link)이 가능한 나츠하 7차 한정 카드로, '''프로듀스 카드 중''' '''댄스 방과후 클라이맥스 걸즈 덱에서 가장 중요도가 높은 카드이다.''' 일반적으로 강한 라이브 스킬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댄스 포지션으로 사용하나, 센터로도 충분히 기용할 수 있다. 나츠하 센터가 갖는 가장 큰 장점은 오모이데 타이밍의 주목도 관리인데, 오모이데 링크 어필 전 걸리는 주목도 100%[3턴] 버프 덕분에 상대적으로 주목도 관리 난이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의 라이브 스킬만으로 스킬 이력을 채워도 주목도가 부족할 일이 거의 없고, 다른 방과후 클라이맥스 걸즈 덱보다 오모이데 타이밍까지 가는 것이 수월하게 된다. 또한 오모이데 타이밍에 주목도 버프를 많이 챙길 필요성이 떨어져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의 {{Da}} 120% UP과 같은 높은 버프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Da}} 6.5배 어필, 라이브 스킬로 전관객 최대 {{Da}} 6.5배[주목도 비례] + 전관객 {{Da}} 1.8배 어필(Link)이 가능한 나츠하 7차 한정 카드로, '''프로듀스 카드 중 댄클에게 가장 중요도가 높은 카드이다.''' 일반적으로 댄스 포지션으로 사용하나, 센터로도 충분히 기용할 수 있다. 나츠하 센터가 갖는 가장 큰 장점은 오모이데 타이밍의 주목도 관리인데, 오모이데 링크 어필 전 걸리는 주목도 100%[3턴] 버프 덕분에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0_쥬리}}을 제외한 다른 댄클 센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도 관리 난이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의 라이브 스킬만으로 스킬 이력을 채워도 주목도가 부족할 일이 거의 없고, 다른 방과후 클라이맥스 걸즈 덱보다 오모이데 타이밍까지 가는 것이 수월하게 된다. 또한 오모이데 타이밍에 주목도 버프를 많이 챙길 필요성이 떨어져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의 {{Da}} 120% UP과 같은 높은 버프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단점으로는 댄스 포지션이 아닌 센터 포지션으로 사용하는 것이기에 강력한 라이브 스킬을 제대로 활용하기 힘들다는 점이 있다.
  
 
==== 덱 채용 가능 ====
 
==== 덱 채용 가능 ====
228번째 줄: 212번째 줄:
  
  
[[파일:Icon Chiyoko P SSR 03.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P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Natsuha P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 (한정) / [[파일:Icon Chiyoko P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aho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 (통상)
+
[[파일:Icon Chiyoko P SSR 03.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한정) / [[파일:Icon Chiyoko P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aho P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 (통상)
  
오모이데에 {{Da}} 어필이 붙어있는 카드들이며, 센터 포지션에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0_쥬리}}나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나츠하}},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카호}}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채용 가능성이 생기는 카드들이다. 이 경우 사용률에서의 이점을 가져가며, 댄스 포지션에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0_쥬리}}의 {{Da}} 5.5배 어필, 2회 듀엣이나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나츠하}}의 전관객 최대 {{Da}} 6.5배[주목도 비례] + 전관객 {{Da}} 1.8배 어필(Link)을 메인으로 사용한다.
+
오모이데에 {{Da}} 어필이 붙어있는 카드들이며, 센터 포지션에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0_쥬리}}나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나츠하}},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카호}}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채용 가능성이 생기는 카드들이다. 이 경우 사용률에서의 이점을 가져가며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나츠하}}의 전관객 최대 {{Da}} 6.5배[주목도 비례] + 전관객 {{Da}} 1.8배 어필(Link)을 메인으로 사용한다.
 
 
===== 덱 채용 가능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린제}}
 
 
 
린제의 7차 카드이자 한정 카드이다. {{Da}} 5배 어필과 {{Da}} 120%[2턴], 주목도 155%[4턴]라는 높은 버프 수치의 라이브 스킬을 가지고 있으며, 패시브 스킬로 20%의 추억 게이지를 채울 수 있어 댄클의 오모이데 게이지 수급에 큰 도움을 준다.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0_린제}}
 
 
 
린제의 마이코레 카드이다. {{Da}} 3배, 전관객 {{Da}} 최대 3배, 지연 흥미 1.25배 증가의 라이브 스킬을 가지고 있는 카드이다. 사용 턴에 흥미를 감소 시키고, 바로 다음 턴에 흥미를 1.25배로 만들어 채용할 가치가 꽤 높은 편이다.  
 
  
 +
===== 덱 채용 가능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린제}}=====
 +
린제의 7차 카드이자 한정 카드이다. {{Da}} 5배 어필과 {{Da}} 120%[2턴], 주목도 155%[4턴]라는 높은 버프 수치의 라이브 스킬을 가지고 있으며, 패시브 스킬로 20%의 추억 게이지를 채울 수 있어 댄클의 오모이데 게이지 수급에 큰 도움을 준다.
  
  
257번째 줄: 234번째 줄:
 
린제의 8차 카드이자 한정 카드이다. 전관객 {{Vi}} 3.5배, 전관객 {{Vo}} & {{Da}} 1.5배, 지연 흥미 1.3배 증가의 라이브 스킬을 가지고 있는 카드이다. 타속성이긴 하나 사용 턴에 흥미를 감소 시키고, 바로 다음 턴에 흥미를 1.3배로 만들어 유용성이 굉장히 높아 댄클에서도 간혹 채용된다.
 
린제의 8차 카드이자 한정 카드이다. 전관객 {{Vi}} 3.5배, 전관객 {{Vo}} & {{Da}} 1.5배, 지연 흥미 1.3배 증가의 라이브 스킬을 가지고 있는 카드이다. 타속성이긴 하나 사용 턴에 흥미를 감소 시키고, 바로 다음 턴에 흥미를 1.3배로 만들어 유용성이 굉장히 높아 댄클에서도 간혹 채용된다.
  
 
+
===== [[파일:Icon Kaho P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 (☆0) / [[파일:Icon Chiyoko P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 (☆3)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0_나츠하}}
 
 
 
나츠하의 마이코레 카드이다. {{Da}} 5배 어필, 듀엣[방클걸] (Change) {{Da}} 20% UP[3턴]의 라이브 스킬을 가지고 있다.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나츠하}}의 가치가 굉장히 높아 비교적 채용 빈도가 낮으나, 그럼에도 듀엣 라이브 스킬의 가치는 높아 채용 가능성은 있다.
 
 
 
 
 
 
 
[[파일:Icon Kaho P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 (☆0) / [[파일:Icon Chiyoko P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 (☆3)
 
 
 
 
{{Da}} 속성의 듀엣 라이브 스킬이 있는 통상 카드이다.  
 
{{Da}} 속성의 듀엣 라이브 스킬이 있는 통상 카드이다.  
  
  
라이브 스킬의 용도가 명확하지 않은 P카드는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Juri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의 ☆4 라이브 스킬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용률 보너스의 추가 이후 높은 점수를 얻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 카드를 채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의 라이브 스킬 중요도가 높은 댄클은 위 소개 된 카드가 아닌 다른 카드더라도 충분히 채용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
라이브 스킬의 용도가 명확하지 않은 P카드는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Juri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의 ☆4 라이브 스킬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용률 보너스의 추가 이후 높은 점수를 얻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 카드를 채용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따라서 상기 소개된 통상 카드가 아닌 다른 카드더라도 충분히 채용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 서포트 카드 ===
 
=== 서포트 카드 ===
  
 
==== 트와 및 한정 ====
 
==== 트와 및 한정 ====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떡가네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Da}} 120% 패시브 스킬과 {{Da}} 3.5배 어필, 흥미 1.5배, 흥미반전이라는 상당한 성능의 라이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댄클의 운용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핵심 카드'''이다. 보통 이 카드의 라이브 스킬로 심사위원의 체력이 깎이는 것을 방지하며 턴을 지연 시킨 후, 흥미반전이 풀리는 타이밍에 오모이데 어필이나 전관객 어필을 사용하는 것이 댄클의 주 플랜이 된다. 흥미 관련 메타를 시작한 카드이며, 현재는 위상이 많이 떨어지긴 했지만 아직도 댄스 덱에서는 준 필수 카드의 위상을 가지고 있다.
 
 
 
[[파일:Icon Yuika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
 
 
트와삼봉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Da}} 120%, {{Da}} 180%라는 굉장히 높은 수치의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패시브 스킬에 주목도 100% DOWN이 붙어 있어 상술했듯이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나츠하}}의 전관객 어필을 메인으로 사용하는 덱은 사용하기 힘들고,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0_쥬리}}의 오모이데 어필을 사용하는 덱에 채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육성에서도 굉장히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고, 라이브 스킬도 {{Da}} 5배, {{Da}} 최대 100% UP[3턴]이라 유용한 편이다.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와의 시너지, 카드 자체 성능을 생각해봤을때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0_쥬리}} 기반의 오모이데 덱에서는 굉장히 중요한 카드이다.
 
 
 
[[파일:Icon Chiyuki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
 
 
양산유키, 비유키 등의 이름으로 불리는 카드이며, S.T.E.P. 시나리오에서 중요한 서포트 스킬인 시설 마스터리를 무려 '''10Lv'''이나 가지고 있어 '''S.T.E.P. 시나리오 기준 필수 카드 자리에 위치해 있다.''' 또한 회복 횟수 2회 조건 {{Da}} 100%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는데, [[파일:Icon Tenka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우마뗑 카드와 함께 사용하면 쉽게 회복횟수를 만족시킬 수 있어 패시브 스킬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파일:Icon Chiyoko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
 
 
가장 최근에 출시된 치요코의 한정 서포트 카드이다. 라이브 스킬은 {{Da}} 3.5배, 듀엣[치요코]라 그다지 좋은 성능은 아니지만 패시브 스킬에 스킬 이력 4명 조건의 {{Da}} 120%가 있고, 서포트 스킬에 유닛 마스터리 {{Da}}상한이 있어 상기 서술한 [[파일:Icon Kaho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와 같이 굉장히 포텐이 높은 카드이다.   
 
 
 
[[파일:Icon Juri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
 
[[파일:Icon Juri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
 
산타쥬리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Da}} 4배, 주목도 30%[3턴], 듀엣[쥬리]의 라이브 스킬을 가지고 있다. 패시브 스킬인 {{Da}} 100%가 주목도 2개 조건이라 발동하기 어려운 점은 아쉽지만, 라이브 스킬 및 서포트 스킬의 성능 자체는 좋은 편이라 채용 가능성이 높다.
 
 
 
[[파일:Icon Natsuha S SSR 11.png|대체글=|60x60픽셀]]
 
 
트와츠하, 트와나츠하 등의 이름으로 불리며, {{Da}} 200%의 강력한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주로 채용된다. 또한 댄스 마스터리 SP, 댄스 마스터리 {{Da}}상한의 서포트 스킬을 가지고 있어 육성에도 괜찮은 성능을 보여준다.
 
  
 
[[파일:Icon Natsuha S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
 
[[파일:Icon Natsuha S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
  
폭츠하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Da}} 75% 주목도 100%, {{Da}} 50% 주목도 100%의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카호}}와 같은 주목도가 필요한 센터를 채용하였을 경우 굉장히 유용하다.
+
[[파일:Icon Chiyoko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
  
 +
[[파일:Icon Kaho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S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
  
[[파일:Icon Asahi S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
===== 통상 =====
  
트와사히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S.T.E.P. 시나리오에서 중요한 서포트 스킬인 시설 마스터리 5Lv를 가지고 있다. 라이브 스킬이나 패시브 스킬은 사용하기 힘들지만, 댄스 마스터리 {{Da}}상한이나 댄스 체재 마스터리 등 육성 용으로 사용할 때는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다.
+
==== 유 ====
  
 +
===== 한정 =====
 +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파일:Icon Toru S SSR 04.png|대체글=|60x60픽셀]]
 
[[파일:Icon Toru S SSR 04.png|대체글=|60x60픽셀]]
  
메이드토루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Da}} 80% 주목도 50%, {{Da}} 50% 주목도 50%의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카호}}와 같은 주목도가 필요한 센터를 채용하였을 경우 굉장히 유용하다.
+
[[파일:Icon Chiyuki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
 
 
 
 
[[파일:Icon Nichika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
 
 
 
니치카의 한정 카드이며, {{Da}} 150% 라는 높은 수치의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카드 풀에 따라 채용된다. 이 경우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파일:Icon Yuika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만약 미코토의 {{Da}} 서포트 카드가 나온다면 가치가 오를 가능성이 있다.
 
 
 
==== 통상 ====
 
[[파일:Icon Rinze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
 
 
 
린제의 통상 카드이며, 좋은 성능의 카드는 아니지만 카드 풀이 부족하고 [[파일:Icon Chiyoko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의 유닛 마스터리 {{Da}}상한을 극대화 시키고 싶을 때 채용된다.
 
 
 
  
 +
===== 통상 =====
 
[[파일:Icon Madoka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
 
[[파일:Icon Madoka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
  
정장마도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S.T.E.P. 시나리오에서 중요한 서포트 스킬인 시설 마스터리 6Lv를 가지고 있다. 만약 상기 서술한 [[파일:Icon Chiyuki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Asahi S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가 없으면 시설 마스터리 6Lv의 [[파일:Icon Madoka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를 쓰게 되는데, 이 때 [[파일:Icon Toru S SSR 04.png|대체글=|60x60픽셀]]의 유닛 마스터리도 소소하게 활용할 수 있다.
+
=== 권장 특훈 순서 ===
 
+
[[파일:Icon Natsuha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 나츠이퀄 전용 ====
 
[[파일:Icon Kiriko S SSR 05.png|대체글=|60x60픽셀]]
 
 
 
탕기릭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탕기릭을 채용하였을 경우 {{Da}} 150%의 강력한 패시브 스킬을 활용하기 위해 저멘탈로 운영하게 된다. 일반적인 댄클은 멘탈이 34% 이하로 내려가는 운영을 하지 않으므로 채용하지 않는다.
 
 
 
 
 
[[파일:Icon_Juri_S_SSR_05.png|60px|링크=https://shinycolors.info/wiki/%ED%8C%8C%EC%9D%BC:Icon_Juri_S_SSR_05.png]]
 
 
 
양치쥬리, 양쥬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보클과는 달리 댄클에서는 오로지 흥미 2배를 보고 채용하며,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나츠하}}의 전관객 어필의 바로 전 턴에 사용한다. [[파일:Icon Natsuha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의 라이브 스킬로 일정 부분 대체가 가능하다. 일반적인 댄클에서는 채용하지 않는다.
 
  
 
=== 운용 ===
 
=== 운용 ===
댄클의 기본적인 운영 방식은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의 흥미 반전에 있다. 매칭된 유닛들의 속성을 센터의 실루엣으로 유추한 후 데미지가 많이 들어갈 것 같은 심사위원에게 흥미 반전을 사용하거나, 특정 룰에 따라 피가 적은 심사위원에게 흥미 반전을 사용하여 [[파일:Icon Juri P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 오모이데 어필 혹은 [[파일:Icon Natsuha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전관객 어필 타이밍을 조정해나가며 운영한다.
+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 오모이데
 
 
기본적으로는 5턴 플랜을 사용하나, 여유가 있는 경우 [[파일:Icon Juri P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Juri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의 듀엣 스킬을 사용하여 턴을 단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1.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카호) -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쵸코) -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쥬리) - [[파일:Icon Rinze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Da}} 120%, 주목도 155%) - [[파일:Icon Natsuha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전관객 {{Da}} 6.5배 + 1.8배 어필
+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ah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 오모이데
 
 
2.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카호) -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쵸코) -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나츠하) - [[파일:Icon Yuika S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린제, {{Da}} 100%) - [[파일:Icon Juri P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 오모이데 {{Da}} 7배 어필
 
 
 
3. [[파일:Icon Juri P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듀엣 카호 쵸코 이력) - [[파일:Icon Rinze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Da}} 120%, 주목도 155%) - [[파일:Icon Natsuha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전관객 {{Da}} 6.5배 + 1.8배 어필
 
 
 
4. [[파일:Icon Juri P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듀엣 카호 나츠하 이력) -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쵸코) - [[파일:Icon Rinze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Da}} 120%, 주목도 155%) - [[파일:Icon Juri P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 오모이데 {{Da}} 7배 어필
 
 
 
5.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카호) -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쵸코) - [[파일:Icon Juri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린제 / 듀엣 쥬리 이력) - [[파일:Icon Natsuha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전관객 {{Da}} 6.5배 + 1.8배 어필
 
  
 
== 비클 ==
 
== 비클 ==
363번째 줄: 276번째 줄:
  
 
=== 개요 ===
 
=== 개요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쥬리}}의 듀엣 2회 효과를 통해 빠르게 이력을 쌓은 후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린제}}의 다속성 오모이데 어필을 사용하거나,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_카호}}의 주목도 1000% 라이브 스킬을 이용하여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치요코}}의 고배율 오모이데 어필을 사용하는 것이 주축이 되는 덱이다.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쥬리}}의 듀엣[방클걸] / 듀엣[방클걸] 효과와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_카호}}의 주목도 1000% 라이브 스킬을 이용하여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치요코}}의 고배율 오모이데 어필을 비교적 빠른 턴에 사용하는 것이 주축이 되는 덱이다.
 
===프로듀스 카드===
 
===프로듀스 카드===
  
==== 필수 사용 카드 ====
+
==== 센터 채용 가능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쥬리}}
 
 
 
라이브 스킬로 전관객 {{Vi}} 4.5배 어필과 듀엣 2회 주목도 30% UP[4턴],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Vi}} 6.5배 어필이 가능한 8차 쥬리 한정 카드로, '''프로듀스 카드 중 비쥬얼 방과후 클라이맥스 걸즈 덱에서 가장 중요도가 높은 카드이다.''' 라이브 스킬은 주목도를 올리는 것과 동시에 2회 듀엣 하여 활용도가 굉장히 높고, 패시브 스킬에 있는 {{Vi}} 75% UP 추억 게이지 15%, {{Vi}} 120% UP 등 어느 것 하나도 버릴게 없는 필수 카드이다. 센터 포지션으로도 채용이 가능하나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린제}}와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치요코}}에 비해 센터 포지션에서의 이점이 부족해 대부분 비쥬얼 포지션으로 채용하며, 만약 카드 풀 등의 이유로 센터 포지션으로 채용되었을 경우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린제}} 혹은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0_카호}}를 비쥬얼 포지션으로 사용한다.
 
 
 
==== 덱 채용 가능 ====
 
 
 
===== 센터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린제}}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Vi}} 6배 어필 + 최대 {{Vo}} & {{Da}} 3배 어필이 가능한 8차 린제 한정 카드로, 비클에서 가장 흔하게 센터로 채용되는 카드이다.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린제}} 센터의 경우 {{Vi}} 뿐만 아니라 {{Vo}}과 {{Da}} 어필도 함께 이루어져 G.R.A.D. 보다는 타속성 스텟을 많이 챙길 수 있는 S.T.E.P. 에서의 육성이 매우 권장되며, 타속성 포지션을 육성할 때도 어느정도 스텟을 챙겨주는 것이 좋다.
 
 
 
  
 +
===== 한정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치요코}}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치요코}}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Vi}} 8배 어필이 가능한 7차 치요코 한정 카드이다. 카드의 구조는 [[파일:Icon Kah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와 유사한 형식으로 주목도 200% DOWN[3턴] 디버프를 건 후 링크 어필이 이루어지나, 비클에서는 [[파일:Icon Kaho P SSR 01.png|대체글=|60x60픽셀]]의 주목도 1000% UP[2턴] 라이브 스킬을 채용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하다. 상기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린제}} 센터와는 달리 최대한 강한 타이밍을 생각해가며 운용하는 덱이므로 턴을 지연시킬 수 있는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의 라이브 스킬이 필수적이다.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치요코}}를 센터로 채용할 시, 오모이데 3레벨과 5레벨의 어필 계수가 같아 S.T.E.P. 에서의 육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Vi}} 8배 어필이 가능한 치요코 한정 카드로, 비클에서 가장 흔하게 센터로 채용되는 카드이다. 카드의 구조는 [[파일:Icon Kah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와 유사하여 주목도 200% DOWN[3턴] 디버프를 건 후 링크 어필이 이루어지나, 비클에서는 [[파일:Icon Kaho P SSR 01.png|대체글=|60x60픽셀]]의 주목도 1000% 라이브 스킬을 채용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하다.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0_카호}}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쥬리}}
  
오모이데 어필로 조건 없이 {{Vi}} 6배 어필이 가능한 카호의 마이코레 카드이다. 오모이데 어필에 조건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며, 단기전이나 주목도가 낮아지는 등의 특정 룰에서 유리하다.  
+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Vi}} 6.5배 어필이 가능한 쥬리 한정 카드로, '''프로듀서 카드 중 비클에게 가장 중요도가 높은 카드이다.''' 카드의 구조는 [[파일:Icon Natsuha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과 유사하게 주목도 100%[3턴] 버프를 건 후 링크 어필이 이루어지며, [[파일:Icon Natsuha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센터가 [[파일:Icon Kah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보다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은 것처럼 [[파일:Icon Juri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센터도 [[파일:Icon Chiyok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센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은 것이 특징이다.
  
  
[[파일:Icon Kaho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Natsuha P SSR 03.png|대체글=|60x60픽셀]]
+
<s>{{틀:아이돌 바로가기|P-SSR4_쥬리}}</s>
  
오모이데에 {{Vi}} 어필이 붙어있는 카드들이며, 센터 포지션에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린제}},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치요코}},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0_카호}},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쥬리}}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채용 가능성이 생기는 카드들이다. 이 경우 사용률에서의 이점을 노리기 위해 주로 채용된다.
+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Vi}} 6배 어필이 가능하다. 데미지만 보면 센터 채용이 가능해 보이나, [[파일:Icon Juri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가 없으면 비클을 할 수 없을 정도로 가치가 매우 높아 사실상 불가능하다.
  
  
[[파일:Icon Juri P SSR 04.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Juri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3_나츠하}}
  
오모이데에 {{Vi}} 어필이 붙어있는 카드이나, 비클은 [[파일:Icon Juri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의 의존도가 굉장히 높아 이 카드를 채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
오모이데 어필로 조건 없이 {{Vi}} 5배 어필이 가능한 나츠하 한정 카드이다. 같은 포지션에서 어느정도 장점이 있었던 [[파일:Icon Juri P SSR 02.png|대체글=|60x60픽셀]]와 달리 큰 장점은 없으며, 현재로서는 위의 카드 중 하나를 센터로 선택하는 것이 적합하다.
  
===== 그 외 포지션 =====
+
===== 통상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린제}}
+
<s>{{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쥬리}}</s>
  
상기 서술한 8차 린제 한정 카드로, 센터로 채용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전관객 {{Vi}} 3.5배, 전관객 {{Vo}} & {{Da}} 1.5배, 지연 흥미 1.3배 증가의 라이브 스킬과 오모이데 게이지 20%, {{Vo}} & {{Da}} & {{Vi}} 100%의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채용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
+
오모이데 어필로 최대 {{Vi}} 5.5배 어필이 가능하다. 데미지만 보면 센터 채용이 가능해 보이나, 상기 [[파일:Icon Juri P SSR 04.png|대체글=|60x60픽셀]]와 마찬가지로 [[파일:Icon Juri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가 없으면 비클을 할 수 없을 정도로 가치가 매우 높아 사실상 불가능하다.
  
 
+
==== 덱 채용 가능 ====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치요코}}
 
 
 
상기 서술한 7차 치요코 한정 카드로, 위의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린제}}에 비하면 채용률이 낮지만 오모이데 게이지 20%를 올려주는 패시브 스킬과 {{Vi}} 5배, 지연 흥미 2배 증가의 라이브 스킬이 있어 채용 가능성은 있다. 아쉬운 점은 {{Vi}} 150%의 패시브 스킬이 주목도 UP 3개 조건이라 발동하기 어렵다는 점.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10_카호}}
 
 
 
상기 서술한 카호의 마이코레 카드로, {{Vi}} 85% + {{Vo}} & {{Da}} 40%, {{Vi}} 120% + {{Vo}} & {{Da}} 80%의 상당한 성능의 패시브 스킬과 {{Vi}} 3배, 전관객 {{Vi}} 최대 3배, 지연흥미 1.5배를 가지고 있어 센터보다 다른 포지션으로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린제}}를 센터로 사용할 경우 {{Vi}} 120% + {{Vo}} & {{Da}} 80%의 버프로 인해 채용률이 높은 편이다.
 
 
 
 
 
[[파일:Icon Juri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Natsuha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0) / [[파일:Icon Kaho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3)
 
 
 
{{Vi}} 속성의 듀엣 라이브 스킬이 있는 통상 카드이다. 이 중 [[파일:Icon Juri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은 상기 서술한 대로 채용되지 않는다.
 
 
 
 
 
간혹 사용률 보너스를 위해 다른 통상 P 카드나 사용되지 않는 예전 한정을 사용할 때도 있는데, 이 경우
 
 
 
[[파일:Icon Kaho S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Juri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Natsuha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와 같은 서포트 카드의 ☆4 라이브 스킬을 채용한다. 
 
  
 
=== 서포트 카드 ===
 
=== 서포트 카드 ===
  
==== 트와 및 한정 ====
+
=== 권장 특훈 순서 ===
[[파일:Icon Kaho S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트와카호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카드이며, {{Vi}} 100% 주목도 50%, {{Vi}} 180%의 굉장히 높은 수치의 패시브 스킬과 {{Vi}} 5배 어필, 주목도 50%[4턴], 듀엣[카호] 라이브 스킬의 구성으로 '''현재 비쥬얼 방과후 클라이맥스 걸즈 덱에서 가장 중요도가 높은 카드이다.''' 현재의 비클 서폿 구성은 트와카호를 핵심으로 나머지 비쥬얼 방클 축을 모으는 느낌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이 카드가 없으면 비클의 성능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파일:Icon Chiyoko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모찌쵸코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카드이며, {{Vi}} 100% 주목도 100%, {{Vi}} 50% 주목도 100%의 상당한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린제}}와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치요코}} 같은 주목도가 필요한 비클 덱을 운용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파일:Icon Juri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
 
 
 
우산쥬리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카드이며, {{Vo}} & {{Da}} & {{Vi}} 90%의 패시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8_린제}}를 센터로 채용할 때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또한 {{Vi}} 4배 어필, 주목도 30%[3턴], 듀엣[쥬리]의 좋은 성능의 라이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주로 채용된다.
 
 
 
 
 
[[파일:Icon Rinze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
 
 
 
커피린제, 욕탕린제, 우유린제, 청소린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카드이며, 주목도 2개 조건이긴 하지만 {{Vi}} 120%라는 높은 수치의 패시브 스킬과 [[파일:Icon_Juri_S_SSR_05.png|60px|링크=https://shinycolors.info/wiki/%ED%8C%8C%EC%9D%BC:Icon_Juri_S_SSR_05.png]]가 연상되는 흥미 1.5배의 라이브 스킬을 가지고 있어 주로 채용된다.
 
 
 
 
 
[[파일:Icon Natsuha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
 
 
 
눈츠하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카드이며, 패시브 스킬이나 라이브 스킬의 성능은 좋지 않으나 S.T.E.P. 시나리오에서 중요한 서포트 스킬인 시설 마스터리 7Lv를 지니고 있어 S.T.E.P. 시나리오 한정으로 채용된다.
 
 
 
만약 이 카드가 없다면 후술할 [[파일:Icon Mamimi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Hinana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Natsuha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카드로 대체할 수 있다.
 
 
 
 
 
[[파일:Icon Mamimi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
 
 
 
트와미미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카드이며, S.T.E.P. 시나리오에서 중요한 서포트 스킬인 시설 마스터리 5Lv를 가지고 있으며, 멘탈 74% 이하를 맞춘다면 {{Vi}} 130%라는 높은 수치의 패시브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 육성에서 굉장히 좋은 성능을 보여주며, 이후 비쥬얼 안티카 축 카드가 더 나온다면 평가가 더 올라갈 가능성이 있는 카드이다.
 
 
 
 
 
[[파일:【silver◎lining】白瀬咲耶.png|대체글=|60x60픽셀]] (추후 이미지 갱신 시 수정)
 
 
 
탕쿠야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카드이며, 최대 Me 4500 이상 조건의 {{Vi}} 110%, 센터 포지션 조건의 {{Vi}} 100%의 패시브 스킬과 비쥬얼 마스터리 멘탈, SP의 서포트 스킬을 가지고 있어 높은 채용률을 가지고 있는 카드이다. 육성과 버프 양면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주며, 상기 [[파일:Icon Mamimi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와 시너지 효과도 있다. 채용률은 높지 않으나 비쥬얼 안티카 축의 유닛 마스터리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 [[파일:Icon Kogane S SSR 11.png|대체글=|60x60픽셀]]까지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파일:Icon Hinana S SSR 06.png|대체글=|60x60픽셀]]
 
 
 
[[파일:Icon Chiyuki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와 같이 S.T.E.P. 시나리오에서 중요한 서포트 스킬인 시설 마스터리를 무려 '''10Lv'''이나 가지고 있는 카드이지만, 패시브 스킬이 히나나 이력을 조건으로 하기 때문에 그다지 어울리는 카드는 아니다.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시설 마스터리 10Lv이기 때문에 비쥬얼이나 센터 포지션을 육성할 때는 사용할 가치가 있다.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떡가네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흥미반전이라는 라이브 스킬의 가치가 굉장히 높아 타속성 포지션에 기용할 수 있다. 특히 {{틀:아이돌 바로가기|P-SSR7_치요코}}를 센터로 사용하는 덱은 턴을 오래 끄는 것이 중요하여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의 라이브 스킬을 많이 채용하게 된다.
 
 
 
==== 통상 ====
 
[[파일:Icon Natsuha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딸기츠하, 딸츠하 등의 이름으로 불리는 카드이며, S.T.E.P. 시나리오에서 중요한 서포트 스킬인 시설 마스터리 6Lv를 가지고 있는 카드이다. 이 카드가 [[파일:Icon Natsuha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보다 시설 마스터리 레벨은 낮긴 하지만 완전한 하위호환은 아닌게, 눈츠하와는 달리 {{Vi}} 3.5배, 주목도 20%[3턴], 듀엣[방클걸]의 라이브 스킬과 {{Vi}} 70% 패시브 스킬을 사용할 수 있고, 서포트 스킬도 꽤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다. 두 카드는 카드 풀과 상황에 맞게 채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 운용 ===
 
=== 운용 ===
비클은 [[파일:Icon Chiyok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를 센터로 사용하는 덱과 [[파일:Icon Rinze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를 센터로 사용하는 덱의 운용 방식이 꽤 차이가 있는 편이다.
+
현재 작성 중.
 
 
먼저 [[파일:Icon Chiyok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를 센터로 사용하는 덱은 [[파일:Icon Kaho P SSR 01.png|대체글=|60x60픽셀]]의 주목도 1000%[2턴]을 사용하고 오모이데 어필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여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의 라이브 스킬을 많이 채용하게 되고, [[파일:Icon Juri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aho S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Juri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Chiyoko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Natsuha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을 통해서 턴을 줄이는 것이 중요해진다.
 
 
 
 
 
예를 들어,
 
 
 
1.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린제) -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나츠하) -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쥬리) - [[파일:Icon Kaho P SSR 01.png|대체글=|60x60픽셀]](주목도 1000%[2턴]) - [[파일:Icon Chiyok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오모이데 {{Vi}} 8배
 
 
 
2. [[파일:Icon Juri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린제 / 듀엣 쥬리 이력) - [[파일:Icon Kogane S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나츠하) - [[파일:Icon Kaho P SSR 01.png|대체글=|60x60픽셀]](주목도 1000%[2턴]) - [[파일:Icon Chiyok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오모이데 {{Vi}} 8배
 
 
 
3. [[파일:Icon Juri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듀엣 린제 나츠하 이력) - [[파일:Icon Kaho P SSR 01.png|대체글=|60x60픽셀]](주목도 1000%[2턴]) - [[파일:Icon Chiyok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 오모이데 {{Vi}} 8배
 
 
 
 
 
[[파일:Icon Rinze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를 센터로 사용하는 덱은 비교적 플랜이 자유로우며, [[파일:Icon Chiyok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Kaho P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파일:Icon Rinze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를 적절히 사용하여 오모이데 타이밍에 흥미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1. [[파일:Icon Juri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듀엣 나츠하 나츠하 이력) - [[파일:Icon Kaho S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쵸코 / 듀엣 카호 이력) - [[파일:Icon Rinze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오모이데 {{Vi}} 6배, {{Vo}} & {{Da}} 3배
 
 
 
2.[[파일:Icon Juri S SSR 09.png|대체글=|60x60픽셀]](쵸코 / 듀엣 쥬리 이력) - [[파일:Icon Kaho S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린제 / 듀엣 카호 이력) - [[파일:Icon Kaho P SSR 10.png|대체글=|60x60픽셀]](지연흥미 1.5배) - [[파일:Icon Rinze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오모이데 {{Vi}} 6배, {{Vo}} & {{Da}} 3배
 
 
 
3.[[파일:Icon Juri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듀엣 나츠하 카호 이력) - [[파일:Icon Chiyoko P SSR 07.png|대체글=|60x60픽셀]](지연흥미 2배) - [[파일:Icon Rinze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지연흥미 1.3배) - [[파일:Icon Rinze P SSR 08.png|대체글=|60x60픽셀]] 오모이데 {{Vi}} 6배, {{Vo}} & {{Da}} 3배
 
 
 
  
 
<references />
 
<references />

샤니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샤니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